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習齋 李昭應의 義理情神과 心說論爭 讀解 (Reading on the Spirit of Justice and Ximseol Debate by Seupjae Yi, So-Eu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3.08
22P 미리보기
習齋 李昭應의 義理情神과 心說論爭 讀解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40호 / 129 ~ 150페이지
    · 저자명 : 유성선

    초록

    습재 이소응은 기자이래 예의를 지키고 바른 법제를 갖추어서 周禮를 이어온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고, 명나라가 망한 이후에는 중화의 문명이 마침내 우리나라로 이어져 소중화를이루게 되었다는 것이다. 본 논고는 굴곡이 많았던 근대에 의리사상은 어떻데 대응했는지 화서학파의 적전자인 유학자이자 의병장인 습재 이소응의 의리정신과 심설논쟁을 탐독해 본다.
    이소응을 비롯한 화서학파의 유생들은 서세동점의 위기의식 속에서 국가를 보존하고, 민족을 구하는 길을 오로지 위정척사에 있다는 확고한 신념과 이론을 견지하고 있었다. 본 논고의차제는 근대성의 의리정신 묻기, 심설논쟁의 의리정신, 심설논쟁의 이론적 기초로 심설논쟁의요인, 心의 이기론적 독해, 「心說正案」의 본의와 체계를 논술하였디.
    결국 습재의 학문과 사상은 이항로-김평묵-유중교-유인석을 계승한 위정척사론이다. 이것은 유교의 전통적 질서를 묵수하는 근본철학이자 실천철학이다. 더욱이 습재는 단발과 의관제도의 변혁을 유학자의 입장에서 신랄하게 비판하였고, 일제침략의 현실적인 위기 속에서 국가를 보존하고 민족을 구하는 길은 위정척사의 확고한 신념과 이론을 견지함으로써 위기를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통 주자학을 견지한 습재는 수구와 개화의 갈등기라는 시대적 전환기에서 화서학파의심론에 입각한 이론적 기초로 주자학의 정통성과 의리정신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조선조 성리학의 시대적 의리정신의 발휘로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에 대항하여 민족적 자존감을 회복하려는 시대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eupjae Yi, So-Eung says that the country which keeps the manner since Gija and leads to Jurye with right legislations is Korea, the center of Chinese civilizat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leads to Korea so that it becomes small China.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spirit of justice cope with modern times with many difficulties, the spirit of justice and Ximseol debate by Seupjae Yi, So-Eung who is the former of Hwha-seo school, confucian scholar and army leader.
    Hwha-seo school's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Yi, So-Eung preserve the country in the sense of crisis with encroaching foreign powers think steady beliefs and the theory that Wijung Chuksa is to save the people. This paper is to describe asking the spirit of justice of modernity, the spirit of justice of Ximseol debate, Ximseol debate's factors as a theoretical basis of Ximseol debate, Xim's Liki reading, the meaning and system in 「Ximseoljeongan」.
    Finally Seupjae's disciplines and ideas is Wijung Chuksalon which succeeded to Yi, Hang-Ro, Gim, Pyeong-Muk, Yu, In-Seok. This is a basic philosophy and practical philosophy to keep Confucian traditional order. Further, Seupjae criticizes sharply bobbed hair and transformation of the dressing sty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fucian scholar, and he claims to overcome the crisis by keeping firm beliefs and theory on Wijung Chuksa, which is to save the country and its people in realistic crisis by Japanese invasion.
    Seupjae who sticks to authentic Jujahak presents Jujahak's legitimacy and the spirit of justice as the theoretical basis based on Xim theory of Hwha-seo school in the transition era, the conflict of the extreme conservation and enlightenment. As exerting the spirit of justice of Neo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this can be the spirit of the time to restore national self-esteem against Japanese imperialist agg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