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정약용의 ‘性嗜好說’과 ‘知天’의 수행론 (The theory of human nature with liking of righteousness and training to realize the heaven in Dasan' philosoph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00.10
26P 미리보기
다산 정약용의 ‘性嗜好說’과 ‘知天’의 수행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11권 / 79 ~ 104페이지
    · 저자명 : 정혜정

    초록

    다산은 心統性情의 一心을 대체(본체)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다산에 있어 性이란 체의 개념이 아니다. 性은 기호에 따른 것이지 고정된 理가 아니며 지존한 본체 개념이 아니기 때문이다. 性은 불교개념으로 말하면 色身이요 心은 法身이라 했고, 마음의 본체는 虛靈不昧, 또는 虛靈本體로서 맹자가 말한 大體와 같다고 하였다. 이 허령한 본체는 능엄경에 보이는 여래장성의 청정본연에서 온 말로 허령은 '虛而靈'의 준말로 '空而妙' 즉, 진공묘유와 통하는 개념이다. 이는 비어 있으면서도 신령함이 있는 비실체이기에 性도 고정된 것이 아닌 기호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을 주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산은 이러한 본체관하에 성기호설을 전개하는데 먼저 그는 신형묘합을 말한다. 객관대상과 인간주관이 접촉할 때 그 門이 되고 길이 되는 것은 귀와 눈과 같은 감각기관이다. 따라서 다산에 의하면 인간의 선악은 그가 소유한 육체나 본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감관으로부터 정보가 들어왔을 때 이것이 대체를 따르느냐 어기느냐를 살펴 대체를 따르는 것이면 그대로 따르고 소체를 따르는 것이면 이를 제어하는 것에서 본연성이 성취된다. 따라서 인간본성의 실현은 대체를 알아 이를 밝게 섬기는 知天에 있다. 인간이 자신의 본연성(천명)을 알면 그 본성을 기르고 그 본성을 기르면 곧 성을 알게 된다. 그 천명을 받든다는 것은 막연한 것이 아니다. 인간이 받들어야 할 천명(본연성)은 천명 스스로가 인간 내면을 두드리고 속삭이며 간절히 알린다. 하늘을 안 이후에 선을 선택할 수 있고, 하늘을 알지 못하면 善을 택하지 못한다. 인간이 의리를 명백히 알면 善을 선택하여 고집할 수 있기에 기질의 병폐란 없게된다. 또한 지천공부란 다산이 이해한 불교처럼 마음을 끊는 좌선이 아니라 待人接物에 있어 적절함을 행하고 사유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Dasan, Jung yak Yong is a philosopher in the late period of Josun dynasty. His thought is diffrent from preuious thought because he is not to thinking the human nature as fixed but as liked. Of course his discuss can't free himself from discourse of Neo-Confucianism. Nevertheless he is the reformer and criticizes the Neo-Confucianism. He argues the human nature as liked that is also influenced by the Sutra(楞嚴經) The idea of reality in Dasan' thought is Divinity(Spirit) and it is ranked together with One-Mind(一心) as a reality of Buddhism. He is not make a nature of reality but make a mind of reality. So human nature is only liking that is to like the good and to dislike the evil. To follow this nature is to follow the Heaven' Decree(天命) through To knowing and devoting the Heaven. He argue that human' Ultimate existence is in a human mind. So for man to be the divine, he realizes and devotes the Heaven in him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