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도 고유명칭’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Problem of the Hypothesis that Claim Jukdo as a Indigenous Nam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0.08
42P 미리보기
‘죽도 고유명칭’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42권 / 1호 / 5 ~ 46페이지
    · 저자명 : 유미림

    초록

    이 글은 일각에서 제기된, 일본이 칭하는 竹島가 ‘대섬’에서 온 한자인데 ‘대 섬’이 ‘큰섬’이라는 우리말에서 온 것이므로 우리가 일본보다 먼저 ‘죽도’의 존재를 인식했다는 주장을 검토한 것이다. 이른바 ‘죽도 고유명칭’설이다. 논자가이 설을 펴는 목적은 일본이 말하는 竹島·松島가 우리 민족의 언어로 해석될수 있다면 먼저 이름을 붙인 우리가 일본보다 먼저 섬의 존재를 인식했음이 입증되므로 우리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여겨서이다.
    ‘죽도 고유명칭’설의 기본 논지는 竹島와 松島가 ‘대섬’과 ‘솔섬’을 한자로 표기한 것인데 이들이 우리말 ‘큰섬’과 ‘작은섬’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즉 ‘큰섬’ 은 우리말로 ‘대섬’이라고도 하는데 ‘크다’는 의미의 ‘대’(大)가 잊혀져 대나무의 ‘대’〔竹〕로 유추되어 ‘대섬’이 되었고 그것이 ‘竹島’로 전해졌다는 것이다. ‘큰 섬 ⇒대섬⇒竹島’가 되었다는 논리다. ‘죽도 고유명칭’설은 이를 논증하기 위해 고대국어와 삼국시대의 음운학, 중국어와 『일본서기』 등을 동원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 설이 성립하는 지는 의문이다. 일본이 칭하는 竹島는 본디 ‘대나 무’의 의미와 관련되어 나온 지명이고 ‘큰 섬’의 의미와는 전혀 관계없기 때문 이다. 게다가 일본은 처음부터 竹島로 칭한 것이 아니라 ‘이소타케시마’로 칭하 다가 竹島로 칭했기 때문이다. ‘죽도 고유명칭’설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는또 다른 이유는, 이 설대로라면, 17세기 후반 조·일 양국이 첨예하게 대립한 ‘울릉도 쟁계’ ‘다케시마 일건’은 성립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竹島·松島가 우리말 ‘큰섬-대섬’, ‘작은섬-솔섬’에서 유래한 것이라면 우리 문헌에 두 호칭과 관련된 내용이 기술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 문헌에는 ‘울릉도’와 ‘우산도’라는 범주를 크게 벗어나 기술된 적이 없다. 우리말 ‘큰섬’에서 ‘대섬’으로 부르다가 ‘대’를 대나무로 인식하여 ‘죽도’가 되었다는 논리대로 라면, 울릉도를 대도(大島)나 죽도, 혹은 그와 유사한 지명으로 칭한 흔적이 문헌에 남아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울릉도는 우릉도, 무릉도 혹은 유사 지명으로 불린 적은 있지만 대도나 죽도로 불린 적이 없다.
    우리가 울릉도와 독도를 ‘울릉도’와 ‘우산도’로 칭하고 ‘竹島’와 ‘松島’로 칭하지 않은 이상, 竹島·松島의 생성 시기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도항과 관음도, 가지도, 석도에 대한 설명도 이들 지명의 추이를 문헌으로 확인할 수있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발음의 유사성에 의거하여 음운학적으로만 설명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criticism of the new arguments made in academic circles. The hypothesis is that Takeshima(竹島), which is called by Japan, is a Chinese character from Bamboo Island(竹島), and Bamboo Island comes from the Korean language “Big Island(大島)”. Therefore, the hypothesis is that Korea recognized the existence of “Jukdo(竹島)” before Japan.
    The intention of the scholar who makes this claim is that if the Japanese name 竹島, 松島 can be interpreted as the language of the Korean people, the first named Korea can claim the sovereignty over Dokdo.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call the new claim “Jukdo is Korea’s own name.” The basic point of the new claim “Jukdo is Korea’s own name” is that 竹島 and 松島 originated from the words ‘big island’ and ‘small island’. In order to prove this, the hypothesis that “Jukdo is Korea’s own name”was explained by mobilizing ancient languages, phonolog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But this hypothesis is fundamentally wrong. The reason is that 竹島, which Japan refers to, is related to the meaning of “bamboo”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meaning of “big island”. In addition, Japan was not called 竹島 from the beginning, but because it was called ‘Isotakeshima’ and ‘Takshima’.
    This hypothesis is incorrect because the “Ulleungdo Dispute”, a sharp contrast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7th century, cannot be established.
    If 竹島 and 松島 originated from the words “big islandbamboo island” and “small island-pine island”, these references should appear in our literature. However, our literature has not described much beyond the categories of Ulleungdo and Usando.
    According to the logic that it changed from ‘Big Island’ to ‘Bamboo Island’ and then to ‘Jukdo’, there should be a trace of Ulleungdo called ‘Big Island’ or ‘Bamboo Island’. We have called Ulleungdo to Ureungdo and Mureungdo but never called Jukdo.
    If we only refer to Ulleungdo and Usando, but not 竹島 and 松 島, it is meaningless to compare the timing of the creation of 竹 島 and 松島. There is a problem in the explanation of the names of island terms and 島項, 觀音島, 可之島 and 石島 ignoring the transition process and relying solely on phon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