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찰 벽화 설화도의 유형과 의미 (The Types and Meanings of Narrative Paintings among Mural Paintings of Buddhist Temple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3.08
24P 미리보기
사찰 벽화 설화도의 유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1호 / 95 ~ 118페이지
    · 저자명 : 김용덕

    초록

    이글은 사찰벽화 가운데 설화적 내용을 그린 설화도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화도의 기능은 크게 분류하면 예배․교화․장엄의 기능이 있다. 이 세 가지 기능은 엄격히 분리되어 쓰이기보다 서로 겸하게 된다. 법당의 외벽에 그리는 설화도는 교화와 장식적 기능을 위해서 그리며 예배의 대상이기 보다 설화를 통해서 불교 교리를 쉽게 이해시키려는 교설의 목적과 장식을 위한 단청의 기능을 겸한다. 설화도는 예배의 대상이기 보다 교화를 위한 방편과 신심을 고양하기 위한 목적에서 민간의 사상과 신앙을 표현하는 경향이 더 크다. 역사가 오래된 사찰의 벽화가 부처나 보살을 주로 그렸는데 비교적 후대에 지어진 사찰에서 설화도가 민화풍으로 그려진다.
    설화도의 유형은 소재․주제․인물에 따라서 다르게 분류할 수 있다. 설화의 기본 요소는 스토리가 있고 이야기를 전개하는 주인공이 반드시 있으므로 주인공의 유형에 따라 분류면 분류의 모호함을 배제할 수 있다. 인물에 따른 유형은 석가모니여래도, 보살신중도, 고승대덕도, 고사인물일화도로 나눌 수 있다. 그림의 내용은 불교적인 소재에 국한하지 않고 고사 인물로 확대하고 민간 설화를 포함하여 서민 친화적인 화재를 차용하고 있다.
    설화도를 해석하는 관점은 종교적 신성성과 세속적 민속성으로 접근할 수 있다. 설화도는 종교적 경건함과 교리의 표출을 목적으로 하면서 신도들의 눈높이에 맞게 서민적 친근감이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그리고 있다. 또한 설화도를 그리는 기법에서도 선화적 작풍과 함께 동양 회화적 요소를 기저로 민화풍으로 그렸다. 설화도가 많이 그려진 조선 후기는 서민들의 욕구와 감성을 풀어놓은 풍속화가 유행하던 시기였다.
    설화도를 통해서 성과 속이 대비 융합되는 상징적 의미를 읽을 수 있다. 대체로 전각의 내부에 그리는 불화는 예배 목적의 주불을 상징하는 불보살과 관련되는 내용을 그린 후불탱화다. 전각의 바깥쪽에 그리는 불화는 장식과 교화를 목적으로 벽화로 그린다. 전각 안과 밖의 그림을 비교해 보면 쉽게 이러한 판단을 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대비와 조화는 성과 속을 대비시키면서 융합의 세계를 지향하는 상징으로 읽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types of narrative paintings that show narrative contents among mural paintings of Buddhist temples and to interpret meanings of the narrative paintings. The functions of the narrative paintings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functions if classified in broad scope: worshiping, religious reformation, and grandeur. Narrative paintings drawn on outer walls of a Buddhist sanctuary have the function of religious reformation and decoration; rather than the subjects of worshiping, they also have the function of explanatory purpose to help people to easily understand the doctrine of Buddhism as well as the function of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decoration.
    Buddha and Bodhisattvas were illustrated in simpler way in the mural paintings of old, historic temples, and the narrative paintings of the temples that were built in relatively later periods were drawn in folk painting styles. The narrative paintings can b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subject matters, themes, and characters. A narrative painting basically has a story that must have a main character in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Thus if the narrative paintings are classified by main characters of storie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ur different types: Gautama Siddhartha Paintings; Bodhisattva Deities Paintings; Virtuous Monk Great Virtue Paintings; Characters of Old Folk Tale Paintings.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 paintings are not limited to the subjects of Buddhism but borrowed ordinary people-friendly as they were expanded to characters of old folk tales and include narratives for ordinary folks.
    The viewpoints that interpret narrative paintings can be approached by religious sacredness and secular folklore. With the purpose of illustrating religious piety and the doctrine of Buddhism, narrative paintings were drawn to reflect folksy closeness for devotees’ level and circumstances of the era during which a particular narrative painting was drawn.
    We can read symbolic meaning in which sacredness and secularity. Mural paintings drawn inside a sanctuary illustrate stories related to Buddhist Bodhisattvas that symbolize core Buddha for the purpose of worshiping. Murals drawn at the outside of a sanctuary have the purpose of decoration and religious reformation. We can read the symbol that aims for the world of fusion by contrasting sacredness and secularity in such contrast and har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