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사론』의 행상(ākāra) 해석을 통해 본 설일체유부의 인식론 (Sarvāstivādin's Epistemolog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Ākāra Described in Abhidharmakośabhāṣy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3.03
26P 미리보기
『구사론』의 행상(ākāra) 해석을 통해 본 설일체유부의 인식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101호 / 121 ~ 146페이지
    · 저자명 : 양용선

    초록

    ākāra는 『구사론』에서 설해지는 설일체유부의 인식론과 수행론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개념이다. 인식론에서는 심․심소의 동의어로서 sākāra가 언급되고, 심과 심소들이 상응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ākāra가 제시된다. 수행론에서는 사제(四諦)를 관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16가지 ākāra가 제시된다. 특히 『구사론』을 저술한 세친 이후 인도에서는 ākāra의 유․무에 의해 유부와 경량부의 인식론을 구분하는 전통이 있었다. 이는 8세기 후반 샨타라크시타가 유부의 인식론은 무형상지식론이고 경량부의 인식론은 유형상지식론이라고 주장한 것에서 비롯한다.
    기실 『구사론』에서는, ākāra의 유․무보다는, ākāra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 의해 유부와 경량부의 인식론을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ākāra는 두 가지로 해석된다. 첫째는 심․심소의 인식작용(行相), 둘째는 인식대상의 형상(形象)이다. 주석가들에 의하면, 전자는 유부의 본래 해석이고, 후자는 세친이 제시한 경량부 해석이다. 유부에 의하면, ākāra는 대상의 형상들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파악하는 심․심소의 인식행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유부의 인식론은, 굳이 정의하자면, 유형상(有刑象)을 포함한 유행상(有行相) 인식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유부에서는 수행론에서 사제를 관찰하는 16가지 ākāra는 바로 혜(prājñā, 慧)라고 정의한다. 반면에 경량부 세친은 ākāra를 오직 인식대상의 형상으로 해석해야만 심과 심소들이 상응하기 위한 조건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세친의 해석은 유부 논사인 중현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킨다. 만약 세친의 해석을 따른다면, sākāra(有形象, 有行相)를 주장하는 유부의 인식론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인식론이 되어버린다고 중현은 『순정리론』에서 반박한 것이다. 첫째는 심․심소의 행상들을 갖지 않는, 경량부가 주장하는, 무행상(無行相) 인식론이 되어버린다. 둘째는 인식대상의 형상들을 갖지 않는, 샨타라크시타가 언급했던, 무형상(無形象) 인식론이 되어버린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Ākāra is a key to understanding Sarvāstivādin's epistemology and performance theory described in Abhidharmakośabhāṣya. In epistemology, sākāra is mentioned as a synonym for citta․caitta, while ākāra is suggested as a condition for citta and caitta to correspond to. In the theory of performance, 16 ākāras are presented as means of observing Catuḥsatya. Especially in India after Vasubandhu, who wrote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tradition of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ākāra to distinguish Sarvāstivādin's epistemology from Sautrāntika's epistemology is well established. This tradition stems from Śāntarakṣita's claim, made in the late 8th century, that Sarvāstivādin's epistemology was anākārajñānavāda and Sautrāntika's epistemology was sākārajñānavāda.
    In practice, in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epistemologies of Sarvāstivādin and Sautrāntika are distinguished by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ākāra, rather than by its presence or absence. First, it can refer to the citta․caitta's recognition action; second, it can refer to the shape of the recognition object. According to commentators, the former is the original interpretation of Sarvāstivādin, and the latter is Vasubandhu’s interpretation of Sautrāntika. In Sarvāstivādin's argument, ākāra means the recognition action of citta․caitta, which actively identifies and recognizes the shapes of the recognition object. To define it, Sarvāstivādin's epistemology should be referred to be sākārajñānavāda, meaning that there is a recognition behavior of citta․caitta that identifies the shape of the object.
    In particular, Sarvāstivādin defines the 16 ākāra that observe catuḥsatya as prajñā. By contrast, Vasubandhu, interpreting Sautrāntika's position, argues that it is a reasonable condition for citta and caitta to correspond only when ākāra is interpreted as the shape of the recognition object. However, Vasubandhu’s interpretation has provoked a strong backlash from Saṃghabhadra, an orthodox scholar of Sarvāstivādin. According to Vasubandhu’s interpretation, Saṃghabhadra refutes the argument that, in claiming sākāra, Sarvāstivādin's epistemology becomes the following two epistemologies. First, it becomes the epistemology claimed by Sautrāntika, which lacks the ākāra of citta․caitta. Second, it becomes the epistemology claimed by Śāntarakṣta, which lacks the ākāra of the recognition o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