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일체유부의 법체와 자성 - 세친의 종자설과 관련하여 - (Dravya and Svabhāva of the Sarvāstivād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10
14P 미리보기
설일체유부의 법체와 자성 - 세친의 종자설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110권 / 4호 / 133 ~ 146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아비달마의 설일체유부는 작용을 기준으로 하여 존재를 파악한다. 물질과 심의 위상을 비등하게 실유로 보고 인식 외부의 실체가 항유한다고 보았다. 사유의 대상인 비량도 실유하지만, 무소연심처럼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한 개념은 거북의 털 등에 비유하여 실유를 부정하였다. 설일체유부의 유명한 어구인 삼세실유 법체항유는 삼세에 법체가 항상 실유한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는데, 유부 교학 논리전개의 특이점은 법체자성과 혼용되는 사극미는 지각 불가능하지만, 지각 가능한 취극미나 적집상의 인식을 이루는 단계에서의 구성요소로 인정하여 그 체가 항유하는 법이 현행할 때 구생하는 심과 동시인과관계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유식처럼 마음의 형상을 생성한다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무소연심을 인정하지 않으며, 경량부와 세친의 대상형상의 인식, 나아가서 승의심이나 일류심 등의 종자설, 심체설과는 달리 체의 작용을 인정한다. 그러나 설일체유부와 유식은 각각 법체자성과 종자식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물리적 영향력인 공능으로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환원주의적 성격을 보인다. 설일체유부의 철학체계는 물적 환원주의, 경량부의 비판적 태도의 영향을 받은 세친의 유식체계는 심적 환원주의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s purpose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the function(kāritra) and the intrinsic nature (svabhāva) or essence of Dharma(dravya) of the Sarvāstivādins by the investigation on the theories about atom theory (Paramāṇu) and the causality of cognition in compared with Sautrāntika or Vasubandhu. Sarvātivāda’s character is supposed as material reductionism. The smallest material masure(Dravyaparamāṇu) is the conceptual existence not yet cognizable and saṃghātaparamāṇu is cognizable by its property. For the constituents of 積集(saṃcita) are inferred as cognition, the property of Dravyaparamāṇu can be inferred. the Sarvāstivādins suggest the conceptual existence inferred from the logical reasoning(比量, anumāna) is real but the not-reasonable concept supposed as non-being. Therefore in Sarvastivāda the mind without object(無所緣心) doesn’t exist.(Vasubandhu admits perceptable saṃghātaparamāṇu than imperceptible Dravyaparamāṇu.) In Sautrāntika and Vijñānavāda only the present momont exists. Therefore the mind has to make the cognition about already disappeared former object and has plenty of subjecive discretion. On the other hand in Sarvātivāda the essence (or body) of every dharma always(in three time periods divided by state of their activities.) exists (法體恒有). Therefore the mind’s subjective discretion isn’t necessary and the mind co-arises only when the Dharma of object is transient current. Prāpti (得) and the intrinsic nature(svabhāva) indenfied with the matirial substrata(Dravyaparamāṇu or essence of dharma) makes Dharma transient. The property of Dravyaparamāṇu is the existence out of cognition, and also a preliminary cognition by the reason that the simultaneous causality(hetu-pala) is insisted by that constituents of cognition are supposed as cognition. About prāpti, Vasubandhu argues that ‘seed’(bīja) replaces the prāpti and ‘Seed’ is an enounce[假名, prajñapti] refers to a ‘seed’(bīja) force has some analogy to the complex of five skandhas which is continuum of Sarvātivāda. The intrinsic nature (svabhāva) or essence(or body) of Dharma(dravya) of Sarvastivada and ‘seed’(bīja) of Vijñānavāda commonly have the aspect of the force make dharmas transient as the continuum in discontinuity of Momentariness. In this respect, two buddhist schools show common context of thou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