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태 성악설의 윤리성 탐구 (The study of the ethics in 性具說by Ti’anTai(天台))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08.11
28P 미리보기
천태 성악설의 윤리성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2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차차석

    초록

    『관음현의』에 나타난 성악설을 중심으로 천태의 다른 저서를 참조하여 성악설에 나타난 윤리적 성격과 그 지향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성악설의 구조와 개요를 살펴보았다. 네 가지의 핵심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이지만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일천제는 성불을 위해 性善이 있으며, 부처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性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제3장에서는 성악설이 지니는 윤리성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은 핵심 용어인 修와 性의 개념을 중심으로 천태가 추구하고자 했던 종교의 세계와 그 윤리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경험의 세계가 지니고 있는 상대성을 초월하여 불성의 세계를 역동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둘째는 達과 不達이란 용어를 중심으로 그 속에 표출되고 있는 性의 역동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達이란 상대적 세계의 무자성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제약을 넘어 자비를 완성하고자 하는 보살행을 지칭하고 있다. 셋째는 성악설에 나타난 조화와 균형의 윤리성을 십계호구설이나 음양론과 연계하여 고찰해 보았다.

    『관음현의』에 나타난 성악설을 중심으로 천태의 다른 저서를 참조하여 성악설에 나타난 윤리적 성격과 그 지향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성악설의 구조와 개요를 살펴보았다. 네 가지의 핵심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이지만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일천제는 성불을 위해 性善이 있으며, 부처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性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제3장에서는 성악설이 지니는 윤리성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은 핵심 용어인 修와 性의 개념을 중심으로 천태가 추구하고자 했던 종교의 세계와 그 윤리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경험의 세계가 지니고 있는 상대성을 초월하여 불성의 세계를 역동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둘째는 達과 不達이란 용어를 중심으로 그 속에 표출되고 있는 性의 역동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達이란 상대적 세계의 무자성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제약을 넘어 자비를 완성하고자 하는 보살행을 지칭하고 있다. 셋째는 성악설에 나타난 조화와 균형의 윤리성을 십계호구설이나 음양론과 연계하여 고찰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성악설의 논리 구조와 그 지향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두 가지 시각에서 접근했다. 첫째는 作意와 神通의 문제였다. 作意的이란 것은 任運無作하지 못한 것을 말하며, 아직도 상대적이고 고정화된 사고에 갇혀 있는 것을 지칭한다. 둘째는 삼제원융사상에 입각한 중도실상의 세계를 연출하기 위한 지관의 논리형식과 그 지향점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천태는 주객미분의 중도실상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그가 추구하는 절대선의 세계 역시 중도실상의 체득과 전개라는 차원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천태는 반야사상에서 강조하는 無自性 無執着의 공사상을 기반으로 절대선의 세계를 대상화, 객관화, 절대화하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 동시에 절대선의 경지가 수동적이고 정태적인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리이타의 대승윤리를 완성하고 실천하는데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그런 점에서 그가 말하는 性惡說에는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는 대승보살의 염원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focused on the nature and the aim of ethics in 『觀音玄義』 and other texts by Ti’anTai, espcially around 性具性惡說 in 『觀音玄義』.
    In chapter 2, I explained the outline and the system of 性具性惡說. It has the system by which answer to the four key problems, and presents what the problems are.
    In chapter 3, I considered the nature of the ethics in 性具性惡說 through three aspects. In the first, I considered Ti’anTai’s religious point of view and the nature of ethics. It explains dynamically the world of the buddha nature beyond the relativity of the empirical world. In the second, I examined the concept of the nature(性) in the terms as like 達 and 不達. the term 達 means the action of the boddhisattva(菩薩行) that is the learning about the nature of asvabhavata(無自性性) of the empirical world, and the achievement of 慈悲 beyond the limit of it. In the third, I examined the ethics of the harmony and balance in the 性具性惡說, associated with the 十界互具說 and the 陰陽論.
    In chapter 4, I considered what are the logical system and the aim of the 性惡說 through two aspects. In the first, my concern is the problem of the 作意 and the 神通. The 作意 means not able to 任運無作, and to be limited by relative and adhered thought. In the second, I examined the logical system and the aim of vipasana and samhatha(止觀) which make the world of middle dharmata(中道實相) founded on the thought of 三諦圓融.
    Through above consideration, I brought a conclusion that Ti’anTai’s aim is the world of middle dharmata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object is not diffrent, and his concept of the absolute good is centered to the attainment and the development of middle dharmata.
    However Ti’anTai rejects to make the absolute good the fixed concept because everything does not have one’ s self. He says that the aim of the absolute good is not at the passive or fixed level, but at the achievement and the practice of the mahayana ethics. So we understanded that his 性惡說 reflected firmly the mahayana ethics for the salvation of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