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443년(세종 25) 癸亥約條의 船數 문제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the Issue of the Number of Ships in the 1443 Gyehae agreemen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5.02
42P 미리보기
1443년(세종 25) 癸亥約條의 船數 문제에 대한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87호 / 77 ~ 118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본고는 1443년(세종 25) 계해약조 직후 조선과 대마도 사이에서 이루어진 50척의 船數 문제 발생과 이에 대한 교섭 과정 및 결과를 살펴보았다. 계해약조 이후 대마도가 여러 차례 數外의 배를 보내자, 조선은 이를 특별히 받아들이면서도, 향후 數外더라도 聲息을 알리거나 이와 관계되는 것을 판단한 후 결정하기로 하고, 대마도에도 계해약조의 船數 규정을 지키도록 요구하였다. 즉, 조선은 대마도에 대해 1년 50척을 넘기지 않는다는 것이 ‘法’으로 관찰사나 변장까지 준수하고 있다고 하였고, 대마도는 계해약조 이후 조선의 요구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그동안 알려진 特送이 ‘無定數, 數外, 別船’라는 등의 이유로 조선의 요구에 반대하거나 다른 의견을 제시한 바는 없었다.
    그러나 宗成職이 새로운 對馬島主가 된 이후인 1454년(단종 2) 대마도는 1년 50척의 數外로 십여 척이 넘는 배를 보냈고, 이때부터 특송과 護軍職 受職人의 배는 모두 50척의 數에 들어있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대마도의 주장은 계해약조에 의거한 조선의 船數 고수 방침에 대해서 특송 및 수직인 등을 통해 船數를 늘리기 위한 획책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계해약조 이후 당시까지도 일반 使送船, 特送船, 歲遣船, 興利船(商船)에 대한 명확한 구분과 규정이 아직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었고, 대마도의 새로운 도주가 이러한 혼란을 악용하여 무분별하게 50척이 넘는 배를 보낸 것이다.
    1455년(단종 3) 조선은 대마도에 敬差官 元孝然을 파견하였고, 원효연은 특송과 호군직 수직인 모두 1년에 50척의 數內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대마도는 완강히 반대하였지만, 결국 조선의 뜻대로 1년 50척에 모두가 포함되는 것이 관철되었다. 원효연 등이 만약 대마도에서 특송과 호군직 수직인의 배가 50척의 數外에 있다고 주장할 경우 조선에서는 深處倭를 접대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하자, 대마도에서는 심처왜에 대한 대마도주의 文引 발행 수수료가 감소할 것을 우려하여 조선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었다.
    그러나 1455년 이후에도 조선은 대마도에서 50척의 數外로 오는 자도 일부 허용하였는데, 이것은 조선 국왕의 特命에 의한 포용적인 자세에 의해서였다. 다만 불필요하거나 지나치게 많이 올 경우에는 역시 허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조선의 이러한 포용적인 자세가 점차 ‘대마도의 특송은 세견선 50척 외이며 정한 수가 없다’고 인식되었고, 이것이 관례화되어 대마도의 특송은 ‘無定數, 數外, 別船’으로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the number of 50 ships that arose between Joseon and Tsushima Island shortly after the Gyehae Agreement in 1443, the negotiation process, and its outcome. After the Gyehae agreement, Tsushima Island sent ships exceeding the agreed number several times. While Joseon accepted these ships, it decided that any additional ships, even if sent outside the agreed number, should be notified in advance and evaluated before making a decision. However, Joseon also demanded that Tsushima Island adhere to the ship number provisions of the Gyehae Agreement. Joseon emphasized that the rule of sending no more than 50 ships a year was regarded as 'law,' and it was to be followed by officials such as Observing Envoys and Border Generals. After the Gyehae agreement, Tsushima Island adhered to Joseon's demands.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no objections to Joseon’s requests regarding special dispatches or ships sent outside the agreed number.
    However, after the new lord of Tsushima Island, Jong Seongjik, took power in 1454, Tsushima Island sent more than a dozen ships exceeding the agreed 50-ship limit. From this point onward, Tsushima Island argued that special dispatch ships and the ships of military officials (those in positions such as military officers) were not included in the 50-ship limit. Tsushima Island's argument was a strategy to increase the number of ships by using special dispatches and military officers in defiance of Joseon's strict adherence to the ship number rule based on the Gyehae Agreement. Up to that point, there was still no clear distinction or regulation regarding general envoys’ ships, special dispatch ships, annual tribute ships, or commercial ships (merchant ships), and the new lord of Tsushima Island exploited this confusion, sending ships recklessly exceeding the 50-ship limit.
    In 1455, Joseon sent a special envoy, Won Hyoyeon, to Tsushima Island. Won Hyoyeon argued that all special dispatch ships and military officers' ships should be included within the 50-ship limit. Tsushima Island firmly opposed this but eventually accepted Joseon's demands, and it was decided that all ships would be included within the 50-ship limit. When Won Hyoyeon warned that if Tsushima Island continued to argue that special dispatch ships and military officers' ships were outside the 50-ship limit, Joseon would no longer be able to entertain the "Shim Cheowae(深處倭)", Tsushima Island, concerned about the decrease in the commission for issuing the Tsushima lord's documents, ultimately complied with Joseon's request.
    However, even after 1455, Joseon allowed a few ships from Tsushima Island to exceed the 50-ship limit, but this was due to a more inclusive attitude driven by the King’s special orders. The general principle, however, remained not to permit excessive or unnecessary ships. Over time, this inclusive attitude led to the perception that Tsushima Island's special dispatches had no set number and were recorded as "indefinite number, outside the limit, separate ships." This perception likely became a custom and was recognized as such in subsequent rec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