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방한계선(NLL)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검토와 대응방안 (International Law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Northern Limit Line (NL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3.06
32P 미리보기
북방한계선(NLL)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검토와 대응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8권 / 2호 / 63 ~ 94페이지
    · 저자명 : 정민정

    초록

    북한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남 군사도발을 하고 있으며, 서해 북방한계선(Northern Limit Line: NLL) 인근 수역이 그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북한은 1973년 이래 NLL 무력화를 기도하였으며, 연평해전, 서해교전,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등을 감행하였다. NLL 인근 해역에서 무력도발을 감행할 경우 군사적 차원에서는 도서방어의 약점을 활용할 수 있고, 북한에 유리한 명분과 논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이 예상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NLL을 둘러싼 남북 간의 갈등 상황을 살펴본 후, 이에 대한 이해관계당국의 입장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휴전협정의 해석을 통하여 NLL의 국제법적 정당성을 검토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NLL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조약 자체에 경계 획정에 관한 통상적 의미의 구체적인 규정이 없는 경우라고 해도 조약 전문에 나타난 대상과 목적, 문맥, 조약 체결시의 사정과 조약 체결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 후속 합의 또는 후속 관행을 고려하여 조약 체결 당시 양측은 경계 전반의 문제를 일거에 확실히 해결하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해석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경계의 기준은 문맥과 후속 합의 또는 후속 관행에서 도출하고 있다.
    유엔군 사령부와 중국, 북한이 체결한 휴전협정 제2조제13호ㄴ목에는 해상에서의 군사적 분계선 문제에 관한 명문의 규정은 없다. 그러나 휴전협정 전반의 문맥 및 서언에 나타난 목적에 비추어 해석해 보건대, 그러한 경계선을 예정하고 있음이 인정된다. 그리고 휴전협정의 해석에 관한 당사국의 합의를 확정하는 추후의 관행을 살펴보건대, 북한은 정전 후 20년간 NLL에 대하여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또한 휴전협정의 해석ㆍ적용에 관한 당사국간의 추후의 합의로 볼 수 있는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와 그 부속합의서에서는 NLL을 상호간 경계선으로 인정하고 추후 별도의 합의가 있을 때까지 이를 준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물론 이들 문서의 법적 효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최소한 ‘남북한 당국이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성실하게 이행하고 준수하여야 할 규범’으로 보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당사국간의 관계에 적용될 수 있는 국제법의 관계 규칙으로 유엔 해양법협약이 자주 언급되고 있는데, 평시 적용을 전제로 하는 유엔 해양법협약의 해상경계 획정 원칙에 관한 규정은 서해상의 군사분계선인 NLL에 적용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NLL을 둘러싼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과 관련하여 한국 정부가 ① NLL이 유엔 해양법협약상의 ‘영해’가 아닌 ‘해상에서의 군사적 분계선’임을 주장, ② 남북 간 군사적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이라는 합의의 전제조건 명시, ③ 유엔 사무총장에게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포격 진상조사를 위한 패널 설치 요청, ④ 2007년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구상’의 발전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Cheonan Sinking Incident and Yeonpyoung Island Bombing Incident in the Yellow Sea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s resulted directly from the unclear and controversial demarcation of their maritime boundary. In March 2010 and November 2011 respectively, the two Koreas had armed skirmishes in the disputed sea areas around the so-called Northern Limit Line (NLL) which was unilaterally drawn by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after the conclus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concerning the Korean War in 1953, but its validity has been rejected by North Korea since 1973. On September 1999 did the North Korean military authorities declare that they had set up a "North Korean Military Demarcation Line in the West Sea (Yellow Sea)" which overlaps with the existing NLL. It is likely that the different lines existing in the same area definitely have caused and will continue to cause maritime conflicts.
    It is therefore imperative that the legality of the NLL be demonstrated. The analysis in this article will combine a legal and a practical approach that will strengthen ROK Government's position, while recognizing the legal implications and identifying the need for the subsequent agreement on a clear maritime boundary line subject to the condition that North Korea should agree to take specific measures for trust-building between two Koreas.
    When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is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ry meaning to be given to its term, it can be said that the maritime military demarcation line was not included in it. However, the NLL should be given credit for playing a significant part in the armistice structure which has lasted to this day, considering the object and purpose of the Armistice Agreement, Article 11 in the South-North Basic Agreement of 1992, the North Korea’s subsequent acquiescence for 20 years after a cease-fire and the history surrounding the conclus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In these scheme to put an end to the state of war, there was no possibility for any legal vacuum left for any subsequent action to draw a new sea boundary line of the western sea in between two combatant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provisions related to delimitation of maritime boundaries shall not be directly applicable to the NLL as relevant rules of international law applicabl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s, because UNCLOS is not for wartime but only for peacetime.
    In light of the North Korea’s continued military provocations in and around the NLL,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y the South Korea. First, the South should consistently maintain the view that the NLL is a military demarcation line in the sea, not a territorial sea or EEZ delimitation line. Second, the South may make a request to the UN Secretary-General on the creation of an ad hoc panel to investigate the cases such as the North Korea’s torpedoing of its Cheonan naval vessel and the bombing of its Yeonpyeong Island, seeking the understanding that the North Korea should respect the NLL until the conclusion of a renewed inter-Korean maritime borderline agreement. Third, the South should make clear its position that fixing a military demarcation line in the western sea is not going to happen until military tension between two Koreas is eased and the trust between them is built. Lastly, if military tensions lesse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ear future, the South will be able to seek a way to resume the discussion on the creation of the so-called the “West Sea Special Peace and Cooperation Zone”, a proposal included in the inter-Korean summit declaration made on Oct. 4, 200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