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 공안선의 수용과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Adoption of Koan Zen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Nammyeongcheonhwasangsong-Jeungdogasasil(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7.03
25P 미리보기
고려후기 공안선의 수용과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0권 / 119 ~ 143페이지
    · 저자명 : 조명제

    초록

    『증도가사실』은 서룡선로 연공이 『남명송증도가』에 대한 주석서로 편찬한 문헌이며, 1248년에 고려대장경의 보유판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13세기 고려 선종계에서 송대 선의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당시 선종계의 사상적 동향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문헌이다. 이 책의 구성은 권마다 먼저 남명송증도가를 배열하고, 이어 각종 어구와 용어에 대한 주석을 배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주석 내용은 증도가기주의 해당 주해를 그대로 인용하는 것과 서룡선로가 각종 용어에 대한 주석을 다양한 문헌에서 인용한 것으로 나뉜다. 서룡선로가 붙인 주석에는 불전, 외전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이 활용되었는데, 송대 선의 흐름을 반영한 선적이 가장 많다.
    증도가사실의 편찬 방식이나 주석 인용에서 가장 주목되는 선적은 조정사원이다. 조정사원은 증도가사실에 무려 42회나 인용된 문헌이며, 전체적인 구성과 편집 방식에서 증도가사실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증도가사실은 12세기 이후 운문종을 비롯한 송대 선의 전체 동향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공안 비평, 곧 문자선의 성행에 따라 편찬된 문헌이다.
    13세기 고려 선종계에서 종문척영집, 선원청규 등을 비롯한 운문종의 선적이 간행되고, 종문원상집, 중편조동오위, 조정사원(30권) 등 새로운 선적이 편찬되거나 저술되었던 양상은 그러한 흐름을 잘 보여준다. 종래 고려불교사 연구에서는 13세기 수선사 단계에서 간화선이 수용, 정착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나 오히려 문자선이 광범위하게 유행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문헌을 통해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Jeungdogasasil(證道歌事實) is a commentary compiled and published by Seoryongseonro(瑞龍禪老) Yeon-gong(連公) on Nammyeongcheonhwasangsong –Jeungdoga (南明泉和尙頌證道歌), which is a text of the Unmun Order (雲門宗) of Zen Buddhism. In fact, Jeungdogasasil was heavily indebted to Jojeongsawon (祖庭事苑) in its compilation and annotation. Jojeongsawon itself wa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Zen of the Unmun Order. The Unmun Order is a Buddhist order that led the practice of Zen Buddhism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960-1127), representing the trend of ‘literary Zen(文字禪)’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Zen Buddhism of the Goryeo Dynasty adopted the Zen of the Unmun Order in the 11th century, and, in the 13th century it wrote and compiled its own Zen texts under the influence of Unmun Order literature.
    Until now, the studies on Buddhist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have understood that Ghanhwaseon(看話禪) was adopted and settled at the Sooseonsa(修禪社) stage in the 13th century. However, this is far from actual history. Ghanhwaseon was accepted in this period, yet at the same time, literary Zen still enjoyed wide currency. And the demand for literary Zen is proved by a variety of related documents.
    Further, we need to consider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view that the Línjì Order(臨濟宗) is the legitimate school of Buddhism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Publication and writing of Zen texts in the contemporary Zen Buddhist circles indicate that the history of Zen Buddhism in the 13th-century Goryeo Dynasty needs to break away from the viewpoint centered on the Linji Order, and instead,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various trends of Zen of the So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