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의 『御定陸奏約選』 편찬 의도와 그 배경 (The intention and the background of King Jeongjo’s compilation of Eojeongyukjuyaks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4.02
29P 미리보기
正祖의 『御定陸奏約選』 편찬 의도와 그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38권 / 91 ~ 119페이지
    · 저자명 : 심지희

    초록

    정조 집권 당시 규장각에서 편찬된 수많은 서적들은 文體反正을 비롯한 문화정책의 일환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1797년에 편찬된 『御定陸奏約選』은 정조가 손수 陸贄의 奏議文을 간추려 뽑은 산문선집이자 일종의 요약판이다. 육지는 唐 德宗을 훌륭하게 보필한 재상으로, 정조는 그의 주의문을 疏章文의 으뜸으로 평가했다. 주의류 산문은 형식적으로도 엄격하지만 그 내용이 당대의 시대상과 사회문제에 대한 전문적 식견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문예적 산문과 거리를 둘 수 있겠고, 이 점은 18세기 京華世族 일각에 대한 정조의 비판적 시선과도 무관치 않다.
    陸宣公奏議가 담고 있는 내용은 당대 조선의 時務와도 깊이 맞닿아 있어 정치적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했고, 『육주약선』의 편찬과 간행은 사족 계층에게 국가 문제에 대한 관심과 諫言을 촉구한 것이었다. 또 ‘約選’이라는 편찬 방식은 통치에 무관심하고 행정적 식견이 얕았던 관료들에게, 방대한 양의 텍스트를 그 精髓만 뽑아서 최소한이라도 읽게 하려던 정조의 노력이었으며, 이는 『羣書標記』에 수록된 여타의 선집류가 모두 취한 방식이었다.
    정조는 육선공주의의 ‘정치적 실용성’에 주목하여 이를 통치에 활용하고자 했으며, 평소 문제시하던 소설체와 소품문 유행에 대한 대안으로서 『육주약선』을 산문의 표본으로 제시하였다. 통치를 위한 서적의 편찬과 간행, 보급이 가지는 의미는 정조의 문화정책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시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문체반정이란 일대사건의 일면은, 사족 계층에게 육선공주의와 같은 醇正한 산문, 곧 유가적 합리성을 담고 있는 글을 쓰도록 유도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겠다. 따라서 『어정육주약선』은 단순한 奏議選集의 개념을 넘어, 18세기 후반의 조선사회라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재생산되었던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numerous publications produced by Gyujanggak(奎章閣) have significance for a part of the cultural policy, such as Munchebanjeong(文體反正). Eojeongyukjuyakseon (御定陸奏約選) is King Jeongjo(正祖)’s excerption and summarization of Yukji(陸贄)’s Juuimun(奏議文), and as such, is the prose anthology and a kind of an abridged edition of it. Yukji was a prime minister, who assisted Dang Deokjong(唐 德宗) honorably, and Jeongjo judged his Juuimun as the best among all of the Sojangmun(疏章文)s. The Juui kind proses could be judged differently from the literature proses not just because they are strict in following their own forms, but also they consist of the contents which could be only made with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 phases and the social problems of the day. This is not unrelated with Jeongjo’s negative view on some of 18C’s Gyeonghwaseju(京華世族).
    Due to their deep connection with Chosun’s current affairs(時務) of the day, the contents on Yukseongongjuui(陸宣公奏議) could be sufficiently used politically.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Yukjuyakseon has the nature in the ignition of influence of gentry’s concern and the remonstrance(諫言) about the national matters. Also, ‘Yakseon’(約選), a way of compilation, was Jeongjo’s effort for the bureaucrats, who did not have any concern about government and were lack of administrative insights, to read at least its minimum by extracting its essence(精髓) from the huge text. This was the same way that the all other anthologies in Gunseopyogi(羣書標記) had chosen.
    Jeongjo tried to use Yukseongongjuui in reign focusing on its ‘political practicality’, and presented Yukjuyakseon as an alternative of the narrative, vignette writing(小說體․小品文) trend which had been disputed, making it a classic of prose. The meaning of the compilation, publication and supply of books for reign is another view point which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Jeongjo’s cultural policy. In this respect, one side of Munchebanjeong could be understood as an inducement for the influence of gentry to write pure(醇正) proses such as Yukseongongjuui, that is, the writings containing the Confucian rationality. As such, Eojeongyukjuyakseon should be regarded not just a simple Juuiseonjip(奏議選集), but a text which had been re-produced with the political intention under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e late 18C’s Chosu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