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조선인의 밀항 실태와 밀항선 도착지 (The Status of Stowaway of Koreans and the Destination of Stowaway 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12
62P 미리보기
일제시기 조선인의 밀항 실태와 밀항선 도착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24호 / 245 ~ 306페이지
    · 저자명 : 김승

    초록

    일제시기 밀항은 단순히 개인적 일탈에 의한 불법 행위가 아니었다. 일제의 식민 지배로 야기된 사회 현상이었고 큰 사건이었다. 본 논문은 일제시기 밀항자의 증감 원인과 밀항자의 전체 규모, 밀항의 여러 방법과 밀항자의 도착지등에 대해 세밀하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항자의 증감에는 일제의 도항 규제뿐만 아니라 가뭄과 홍수로 인한 자연재해 또한 중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1940년 이후에는 일제의 강제 동원을 이용한 밀항이 증가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밀항자 규모와 관련해서는 1930년대 중반 무렵 재일조선인 중 최소 3%~8% 정도가 밀항자였다는 추론을 제시했다.
    한편 밀항의 여러 방법 중 밀항브로커 알선에 의한 발동선 밀항이 1939년까지 1위를 차지했고, 1940년 이후에는 증명서(도항증·일시귀선증명서) 위조에 의한 밀항이 1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발동선을 이용한 밀항이 1940년 이후 2위로 밀려난 데는 세 가지 원인이 있었다. 일제가 1940년 5월 도령(道令)을 제정하여 밀항을 강력하게 단속한 점, 밀항자들이 강제 동원을 이용하는 쪽으로 선회한 점, 전시통제로 인해 석유에 대한 연료난이 발생하면서 발동선 운항이 어려워졌다는 점 때문이었다. 증명서 위조에 의한 밀항 역시 재일조선인이 증가함에 따라 도항증보다는 일시귀선증명서 위조가 늘어나는 경향을 확인할 수있었다.
    밀항선 도착지는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 서부의 4개 현(福岡·山 口·長崎·佐賀)에 86% 이상 집중되어 있었다. 이들 4개 현 중에서 단연 1위는 야마구치현이었고 2위~3위를 차지한 곳은 나가사키현이었다. 그런데 밀항선의 나가사키현 도착의 실상을 보면 절대적 다수는 쓰시마 도착이었다. 이처럼 쓰시마에 밀항자들이 많이 도착한 것은 밀항자들이 중간 기착지로써 쓰시마를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igration of Koreans to Japan proceeded under the name of Dohang. However, the Japanese imperialists controlled the Dohang(渡航, legal voyage) of Koreans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s a result, many Koreans who were prevented from traveling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chose to stowaway. As for Dohang, several discussions have been held in relation to the issu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or a long time. However, research on stowaways(密航, illegal passage), which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migration of Koreans to Japan along with Dohang, is far from sufficient. As long as the number of farmers collapsing in rural areas due to Japanese colonial rule grew, the number of travelers and stowaways was bound to increase. Therefore, stowawa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imply not an illegal act simply by personal deviation. It was an important phenomenon and a big event derived from social structural problems of colonial socity.
    By analyzing the stowaway in detai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examined the cause of the increase or decrease of smugglers by period, the total size of smuggl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various methods of smuggling, and the destination of smugglers. As a result,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stowaways not only depend on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on natural disasters caused by drought and flooding. Alos, the study confirmed that after 1940, the number of stowaways who took advantage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creased. the stowaway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estimated that about 3% to 8% of Koreans living in Japan around the mid-1930s.
    Regarding the stowaway method, stowaway by the stowaway aboard small engine boats broker was the first choice until 1939, but after 1940, stowaway by fake certificates took priority. there were two reasons why stowaway fell to second place after 1940. One was that the Japanese Empire enacted the Doryeong(道令) in May 1940 and strongly cracked down on stowaway. The other was that stowaways turned to stowaways using forced mobilization, and the wartime control economy also caused the engine ship to face a oil shortage. The destination of the stowaway ships were 86% to 96% concentrated in four prefectures in western Japan, geographically close to the Korean Peninsula. Among these four prefectures, Yamaguchi Prefecture ranked first, and Nagasaki Prefecture ranked second to third. Especially 76%-82% stowaways arrived at Tsushima, Nagasaki. The reason why the majority of stowaways arrived at Tsushima was that they were using Tsushima as an intermediate stopo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