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설교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aching of Arthur T. Pierson and KyungChik Ha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5.08
42P 미리보기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설교에 대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피어선신학논단 / 4권 / 2호 / 11 ~ 52페이지
    · 저자명 : 류원렬

    초록

    논문의 목적은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설교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아더 피어선(Arthur T. Pierson, 1837-1911)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미국과 영국의 복음주의 운동에 큰 기여를 하였던 개신교 복음주의 신학자요, 목회자요, 설교자요, 그리고 선교전략가였다. 반면 한경직(1902-2000)은 한국 교회사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한국교회와 사회, 그리고 교육에 깊은 영향을 준 20세기 한국교회가 배출한 가장 존경받는 목회자요, 설교자요, 그리고 사회운동가이다. 한 사람은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살았던 미국인 설교자이고, 또 한 사람은 20세기 전체를 살았던 한국인 설교자이다. 피어선과 한경직에게 붙여지는 수사적 호칭은 다양하고 화려하지만, 두 사람은 하나님 앞에서 교회와 하나님나라 사역 위해 헌신해 왔던 설교자였다. 연구자는 두 사람의 설교적 삶과 설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하였고, 그 결과 두 사람의 설교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설교에 나타난 공통적 요소는, 우선 두 설교자가 철저한 복음주의적 신앙의 토대위에서 설교하였다는 것이다. 둘째로 설교자 피어선과 한경직은 청빈과 경건의 삶을 실천하고자 했던 청교도적 생활신앙인이었다. 셋째는 두 사람 모두 에큐메니칼 정신으로 초교파적 연합운동에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설교를 하였다. 넷째는 두 사람 모두 도시선교 및 해외선교 사역에 깊은 관심과 열정을 품었다. 그러나 두 사람이 가진 한계도 발견할 수 있는데, 피어선과 한경직은 당대의 “제국주의”와 “군사정권”의 정치, 사회적 이데올로기 구조의 틀 안에서 반기독교적인 정치, 경제적 매트릭스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제기하지 못한 인식적, 체험적 안목의 한계를 보인다. 하지만 연구자는 결론적으로 두 사람의 설교가 복음주의적 설교의 모범이라고 인식하며, 피어선과 한경직의 설교는 한국교회를 향한 복음주의 설교의 소중한 유산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aching of Arthur T. Pierson and KyungChik Han. Arthur T. Pierson(1837-1911) was a Protestanttheologian, pastor, preacher, and mission-producer/projector, who greatly contributed to Evangelical movement in British and America from the late 19thcentury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KyungChik Han was a well-known and mostly respected pastor, preacher, and social leader in Korea of the 20th century, who gave much impact on the Korean church, society and education. One was an American preacher living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until the early stage of the next century, and the other was a Korean preacher, who lived throughout the whole time of the 20th century. Although Pierson and Han are respected by diverse and colorful titles, above all, one significant title for the two, if I would define, was preacher having dedicated for the ministry of the Kingdom of God as well as church. The researcher attempted to focus on the preaching life and preaching itself of their own, an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eaching were analysed and discovered.
    The common factors manifested in the preaching of Pierson and Han is, first of all, that they preached on the thorough foundation of the evangelical faith. Second, Pierson and Hahn made a great emphasis upon a puritan living and faith and they lived according to what they preached. Third, as strong supporters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church, they preached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ecumenism of the church and the cooperative spirit in the sphere of mission. Fourth, in their preaching the two showed deep concern and passion for the urban ministry and oversea mission. However, it may be criticized that their preaching did not show the prophetic spirit in the opposition to the defect of their days, which were ‘Imperialism of the western hegemony,’ and ‘military dictatorship of the Korean politics.’ It can be their limits of epistemological and experiential perspective on social and political reality. However,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argues and emphasizes that the preaching of Pierson and Han can be a model of the evangelical preaching, and their preaching life and message should be a precious legacy of and for the Korean church to succeed and develo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피어선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