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선잠·친잠의례와 음악의 역사적 변천 (The Historical Changes of Seonjam·Chinjam Ritual and Music in the Joseon Dynas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08
39P 미리보기
조선시대 선잠·친잠의례와 음악의 역사적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9호 / 509 ~ 547페이지
    · 저자명 : 송지원

    초록

    조선 초기부터 행해진 양잠 관련 국가의례는 의식주의 ‘衣문화’로서 ‘입을 거리’를 중요시 여기던 국가의 의지를 드러내는 의례로 자리매김 되었다. 성종 대에는 ‘왕비가 직접 뽕잎을 따는 절차’를 추가하여 그 중요도를 높였다. 영조 대에는 의례의 의미가 더 확대되어 왕비가 양잠신에 직접 제사하는 ‘작헌례’ 절차를 더하여 ‘여성’이 ‘여성신격(神格)’에 직접 제사를 올리는 최초의 의례로 자리하게 되어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새로운 형태가 출현하였다. 이는 영조가 선농제를 행한 후 직접 밭을 가는 친경의례와 위상을 맞춘 것으로서 농사와 양잠행위의 중요성을 아울러 부각시킨 것이기도 하다.
    그 결과 영조 대에 정비된 친잠 관련 의례는 그 내용이 확대되어 11가지 의례로 정착된다. 이는 의례를 행하러 가기 위한 출궁 절차부터 왕세손, 혜빈궁이 왕비를 수행하는 절차, 왕비가 작헌례를 올린 후 친잠하는 의례, 왕이 교서를 반포하는 의례, 친잠을 마친 후 행하는 조현의(朝見儀), 왕비가 누에고치를 담은 상자를 받는 의례까지이다. 이러한 의례는 그 이전에 행해지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큰 규모로 확대된 것으로서 이는 영조 대 의례 정비 양상의 한 특징을 이룬다. 이들 의례의 주요 절차에는 음악이 수반되며 그 음악은 속악, 그리고 고취(鼓吹) 등을 포함한다. 영조 대의 친잠 관련 의례는 선잠제의 신격인 여성을 여성이 직접 제사하는 의례로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제정됨으로서 그 명분과 실제가 비로소 일치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cocoon breeding related national ritual ceremony exercised from the beginning time of Joseon is the ‘clothing culture’ that has taken its role in the ritual ceremony where it demonstrates the resolution of a state that placed importance in 'things to wear'.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t enhanced the level of importance by adding the ‘procedure to pick up the mulberry leaved by the queen person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 implication of the ritual ceremony was even more expanded that there was an new emergence of new type of national ceremony for the Joseon Era with its first ritual ceremony for woman to personally administer the memorial ceremony to the 'woman divinity' in addition to the 'Jakheonrye' procedure to personally present by the queen for the cocoon breeding. This is intended to meet the status of chingyeonguirye (farming-friendly ceremony) with King Youngjo to personally cultivate the dry field after administering Seonnongje (good harvest paying ceremony) that it is conspicuously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farming and cocoon breed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 Chinjam (a type of ceremony that queen personally breeds cocoon for fabrics) related ceremonial rite that was rearr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was settled into 11 ceremonial rites with the expansion of its contents. It ranges from the procedure to leave the palace for carrying out the ritual ceremony to the procedure for the crown princess and Hyebin-gung to accompany the queen, ritual for the queen to devote the Jakheonrye to exercise Chinjam, the ritual for the king to announce his royal message, johyeonui (morning assembly) exercised after completing Chinjam, it is the ritual for the queen to receive the box that contained the cocoon. This type of ritual ceremony is a significant expansion when compared with the exercise carried out earlier and it is part of characteristics displayed for ritual overhaul trend in the reign of King Youngjo. In the main procedures of these ceremonial rites, the music is accompanied and the music includes folk music, inspiration and so forth. The Chinjam related ritual ceremony in the reign of King Youngjo was established in the direction to establish it as the ritual ceremony for a woman who had the divine role of the seonjamje ritual to administer the ritual in a way of having the justification and reality to be consis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