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혐오해도 되는 마지노선? : ‘우리’ 안의 장애 혐오 (The Limit Line of Hate? : The Omission of Disability from Anti-Hate Discours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10
26P 미리보기
혐오해도 되는 마지노선? : ‘우리’ 안의 장애 혐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횡단인문학 / 9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전혜은

    초록

    이 글은 특정 사회적 소수자 집단을 겨냥한 혐오에 맞서는 이론적 작업들이 그 소수자적 특성을 위한 맞춤형 논거를 만드느라 부지불식간에 다른 소수자들을 배제하는 경향에 주목한다. 특히 반-혐오 담론 안에서도 장애가 ‘혐오하면 안 된다’는 피상적 수준에 그칠 뿐, 혐오를 파훼하는 이론의 구축 과정에서 도구화되거나 ‘혐오해도 되는 마지노선’으로 눈에 보이지 않게 쫓겨나는 양상, 더 심각하게는 그 반-혐오 담론의 핵심 원리로서 장애 혐오가 구조화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 글은 이런 비판 작업의 초벌 단계로서, 페미니즘 안에서의 반-혐오 담론 중 일부를 검토한다. 먼저 페미니즘 안에서 장애를 장애물과 적을 나타내는 은유로 도구화하는 양상과, 이런 용법이 장애가 있는 사람들 자체를 정치적 걸림돌로 취급하는 태도로 발전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그다음 혐오에 맞설 대항담론을 구축해온 페미니스트 법철학자 마사 C.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의 작업에 초점을 맞춰, 반(反)혐오 담론의 이론적 논거를 공급하는 주축으로 어떻게 장애 혐오가 은밀하게 깔려있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장애 혐오를 인식하지 못하게 막는 틀을 해체하는 작업이 팬데믹 시대에 어떻게 더욱 복잡하고 어려워지는지를 살펴보면서 이럴 때일수록 반-혐오 담론에 장애 관점의 통합이 중요함을논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nclination, displayed in many works that theorize hatred against certain minorities, to exclude other minorities unwittingly to develop argument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ertain groups. Even within anti-hate discourses disability is given superficial treatment, merely toolized or made invisible as the “limit line of hate” in the course of anti-hate theory development; worse, anti-disability hatred is built into these discourses as their core principle. As a preliminary step to critically analyzing these tendencies, this paper reviews some feminist anti-hate discourses, examining the ways disability is used as metaphors for obstacles and enemies and how they evolve into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political hindrances. Then, focusing on the work of the feminist legal philosopher Martha C. Nussbaum and her counter-discourse against hate, I analyze how anti-disability hatred is covertly hidden in the central argument of anti-hate discourse. Lastly, I discuss the increased difficulty in the pandemic era in deconstructing the framework that renders anti-disability hatred unrecognizable, stressing that it has become all the more important to incorporate a disability perspective into anti-hate discou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횡단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