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A Study on the Methods of Taste for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Cultural Spaces among Classical Scholars during Jose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4.12
41P 미리보기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5호 / 177 ~ 217페이지
    · 저자명 : 정우락

    초록

    조선시대 선비들은 위기지학(爲己之學)과 관련된 긴수작(緊酬酌)만 공부한 것이 아니라, 시문과 예술, 취미와 여행 등 한수작(閒酬酌)에 해당하는 것도 그들의 일상 속에서 향유하였다. 본고는 이 한수작에 주목하면서 조선조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다. 오늘날의 경우로 말한다면 논리에 입각한 관념적 철학적 사유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선비들이 풍류를 일상 속에서 어떻게 향유하였던가 하는 부분을 주로 논의하였다는 것이다.
    풍류는 고대의 국중대회(國中大會)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이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러 성리학에 입각한 선비들의 풍류로 성장하게 된다. 특히 선비들은 참된 인생의 의미를 자연과 결부시켜 이해하고 있었다. 선비들의 풍류방식은 홀로 즐기는 것과 함께 즐기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홀로 즐기는 독락의 풍류 세계는 자기에게로의 고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조선조 선비들의 풍류방식은 ‘홀로’와 ‘함께’를 모두 온전히 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선비들의 문화공간 만들기는 점과 선을 통해 해석할 수 있다. 점을 중심으로 한 문화공간은 특정 사물에 대한 집약적 관심을 통해 나타났는데, 8경이나 10경 등의 집경시(集景詩), 혹은 석각문화로 확장되기도 했다. 선을 중심으로 한 문화공간은 계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는데, 구곡문화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하류에 9곡이 설정되거나, 두 개의 계류에 9곡을 동시에 설정하거나, 9곡이 7곡으로 축소되는 등 주자의 <무이구곡>과는 다른 조선적 변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나아가 점과 선이 같은 지역에 공존하는 복합공간도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In Joseon, classical scholars not only studied Ginsujak(緊酬酌) related to Wuigijihak(爲己之學), but also enjoyed Hansujak(閒酬酌) such as poetry and prose, art, hobbies, and traveling in daily life. Focusing on Hansujak, this study addressed the methods of taste for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cultural spaces among classical scholars during Joseon in a concentrated manner. It mainly discussed how classical scholars enjoyed their tastes for the arts in daily life rather than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thinking based on logic in today's terms.
    Tastes for the arts originated in ancient Gukjungdaehoi(國中大會), which evolved into classical scholars' tastes for the arts based on Neo-Confucianism in Joseon through Shilla and Goryeo. Classical scholars especially understood the meaning of true life in its relation to nature. Their method of taste for the arts was to share the experience of enjoying rather than enjoying in solitude. The world of taste for the arts enjoyed in solitude does not mean isolation into oneself, though. The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thus set a direction of enjoying a taste for the arts completely both in "solitude" and "together."The creation of cultural spaces by classical scholars can be interpreted through dots and lines. Cultural spaces around dots were expressed in intensive interest in certain objects and extended to eight- or ten-gyeong Jipgyeong poems or stone carving culture. Cultural spaces around lines developed along the mountain streams, and one of their representative examples was Gugok culture. There were Joseon style-based transformations different from the WuyiGugok(<武夷九曲>) of Zhu Xi(朱熹) such as nine goks in downstream, simultaneous setting of nine goks in two mountain streams, and reduction of nine goks to seven. Furthermore, there were complex spaces where dots and lines coexisted in the same dom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