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적 시뮬레이션이 선(先)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ental Simulation on Front-Loaded Point Program: Moderating Role of Product Typ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2.06
23P 미리보기
심적 시뮬레이션이 선(先)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19권 / 3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김소현, 최지은, 김지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대두된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한 유형으로 선포인트 고객보상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고객보상을 미리 지급하는 형태인 선포인트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 어떠한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심적 시뮬레이션과 심리적 반발이론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심적 시뮬레이션의 종류가 소비자 태도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실험 1의 결과, 과정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소비자들은 결과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소비자들보다 심리적 반발감을 느끼게 되어,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해 비호의적인 태도를 가질 뿐 아니라 이용의도 또한 낮았다. 또한 심적 시뮬레이션 유형의 차이가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제품유형을 제시하였다. 실험 2를 통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과정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소비자들은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통해 쾌락적/표현적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실용적/기능적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보다 선포인트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가 높았다. 반면, 결과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소비자들은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적/기능적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쾌락적/표현적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보다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정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소비자들은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기 위해 실용적/기능적 제품보다 쾌락적/표현적 제품을 선호하는 반면, 결과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소비자들은 구입에 대한 합리화를 위해 쾌락적/표현적 제품보다 실용적/ 기능적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는 새롭게 대두된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연구함으로써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에게 선포인트 프로그램이 어떻게 실행되어야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어초록

    Front-loaded point program has been introduced by an credit card company in Korea in 2003. Front-loaded point program is different from ordinary point program which is called rear-loaded point program, in that incentives are provided right after consumers decide to sign up for the program. An important aspect of front-loaded point program is that consumers are provided with immediate benefits or points by a company only if they promise to pay back the points within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purchasing products or services from that company. Prior researches focus on rear-loaded point program, that is a traditional type of point program to give consumers incentives upon their accumulated repeat purchases.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front-loaded point program, which has not been a topic of debate since it was newly introduced in industries. The authors examine the factor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front-loaded point program which gives customers reward in advance. Specifically, the authors examine the effects of mental simulation on the attitude and behavior relating to front-loaded point program on the basis of mental simulation theory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authors propose hypotheses as follows. First hypothesis is tha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join front-loaded program and to show favorable attitude toward front-loaded program, when consumers focus on outcome simulation (vs. process simulation). Second hypothesis is that psychological reactance will mediate the effect of mental simulation on attitude and intention to join front-loaded point program.
    On the other hand, We demonstrate that mental simulation has an effect on the attitude and intention to join front-loaded point program, product type will moderate the effect of the mental simulation (H3).
    Specifically, Consumers who focus on process simulation are more likely to join front-loaded point program and to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 front-loaded program when they purchase hedonic/expressional products rather than utilitarian/functional products (H3-1). Consumers who focus on outcome simulation are more likely to join front-loaded program and to show favorable attitude toward front-loaded program when they purchase utilitarian/functional products rather than hedonic/expressional products (H3-2).
    The authors conducted two studies to verify hypotheses. Using the first study, the authors reveal that process simulation influences the degree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reactance, which results in unfavorable attitude toward front-loaded point program. Specifically, when consumers are involved with process simulation rather than outcome simulation, they are more likely to feel psychological reactance, and this leads to unfavorabl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front-loaded program. Also, using the second study, the authors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product types consumers want to purchase with front-loaded points.
    As a result, when consumers are involved in process simulation, they prefer to purchase hedonic/expressional products with front-loaded points than utilitarian/functional products; while when consumers are involved in outcome simulation, they prefer to purchase utilitarian/functional products with front-loaded points than hedonic/expressional products.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academ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First, the current research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area relating to customer reward programs. The current research introduces front-loaded point program as a new topic of debate in academic area. Second, the current research gives marketing practitioners practical guidelines on how to implement front-loaded point progra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o persuade consumers to join the program, marketers should promote consumers to focus on outcome simulation rather than process simulation with diverse marketing tactics. Also, marketers are more likely to persuade consumers to join the program when they provide consumers with different product type on the basis of mental simulation consumers focus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