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본선종과 군국주의 -전쟁선(戰爭禪) 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rn Japanese Zen Buddhism and Militarism - Focused on Sentō-zen thought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0.04
27P 미리보기
근대 일본선종과 군국주의 -전쟁선(戰爭禪) 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55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근대 일본불교는 소위 전시교학을 만들어 자신의 신도들이 전쟁에 참여하도록 독려하였다. 일본선종은 근대 초기 재가신도들의 일상의 지침인 「조동종수증의(曹洞宗修証儀)」를 통해 전시교학의 기반을 구축했다. 선종의 대외전쟁 참여의 정당성은 이처럼 교의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교학과 관계가 깊은 전쟁선(戰爭禪)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비판받아 마땅한 전쟁선은 근본적으로 윤리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전쟁선의 사상은 일본전통의 무사도에 기반하고 있다. 일본 중세를 연 막부(幕府)의 실권자를 포함한 무사는 특별한 사회계급을 형성했다. 사회가 안정된 에도막부(江戸幕府) 에서는 무사들의 여러 지침서가 등장한다. 그 중의 하나가 『하가쿠레(葉隠れ)』다. 그 내용에서 불교 생사관의 영향을 엿볼 수 있지만, 불교의 불살생의 가르침은 영향을 주지못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정권이 바뀌어 제국주의로 변모해 가는 근대에 이르러서도마차가지였다. 비판받아 마땅한 전쟁선은 근본적으로 윤리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 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천황을 정점으로 한 근대봉건주의와 조직적 교단주의다. 선종은 다른 불교계와 마찬가지로 국체론(國體論)을 지지함으로써 근대국가의 이데올로기에 정당성을 부여한 것이다. 또한 관념적 선으로 인해 자아의 초월에만 매몰되어 현실 윤리를 부정하였다. 두 번째로는 일살다생(一殺多生), 즉 한 사람을 죽임으로써 다수를 살린다는 논리로써 전쟁을 긍정한 점이다. 불교의 전통인 불살생계를 무너뜨렸다. 불교의 생명인 이 계율을 무너뜨림으로써 불교 자체의 부정을 가져왔다. 이처럼 일본선종의 윤리는 근대국가체제 내에서 파탄 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reflective study of the history that modern Japanese Zen Buddhism came to concentrated on nationalism and fell into the world of militarism and fascism. Modern Japanese Buddhism created so-called Senjikyōgaku and encouraged its believers to participate in the war. It was a serious distortion of illegalities and, at the same time, an act of betraying one's doctrine. the Zen Buddhism was also same. They established the basis for Senjikyōgaku through the 「Sotōshū-susyōgi」, which was the daily guide for the believers in the early modern times. The legitimacy of the Zen Buddhism participating in the wars against foreign powers was achieved through this process of socializing the doctrine like this. In this paper, taking a step further, it will seek Sentō-zen that is deeply related to Senjikyōgaku.
    The thought of Sentō-zen is based on Bushido, a Japanese tradition.
    Bushi (the warrior) including the power-holders in Bakuhu which opened the Japanese middle ages was formed the special social class. In the Edo period thast the society became stable, the various guidelines for warriors were emerging. One of them is 『Hagakure』. The Buddhist view of life and death influenced the content, but the teachings of Buddhist ahimsa did not. This was no different in the modern era when the regime changed and turned into imperialism. The Sentō-zen that deserves criticism has ethical limitations fundamentally.
    There are three ways at the point. First, it is modern feudalism with the Japanese emperor at its peak. The Zen Buddhism gave the justification for the ideology of modern countries as supporting Kokutairon as in other Buddhists. Secondly, it is a logic affirming the war as Issatsutashō, that’s is a logic of killing one person saves the majority. This is what brought down the Buddhist tradition, the ahimsa system. Finally, this is the denial of real ethics through the transcendence of self. It is that the justice of Buddhism, that is deconstructing of false and reveal of truth, was broken down by ignoring all irrationality and injustice and falling into the ideal world of Zen. Like this, the ethics of the Japanese Zen Buddhism was destroyed within the modern stat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