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버드대 소장 국한문혼용 필사본 <정을선전(鄭乙善傳)>의 표기상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notational characteristics of Jeongeulseon-jeon(鄭乙善傳), a manuscript for mixed Korean and Chinese writings in the collection of Harvard Universi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3.03
38P 미리보기
하버드대 소장 국한문혼용 필사본 &lt;정을선전(鄭乙善傳)&gt;의 표기상 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59호 / 141 ~ 178페이지
    · 저자명 : 이민희

    초록

    본 연구는 하버드대 소장 국한문혼용 필사본 <정을선전>의 이본상 특징을 표기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150종이 넘는 <정을선전> 이본은 대개 순국문본이며, 국한문혼용본은 단국대 소장본 2종(52장본과 60장본)과 하버드대 소장본, 이렇게 3종뿐이다. 이본에 따른 내용상 차이는 그리 크지 않으나, 하버드대 소장 <정을선전>은 표기 및 문체상 특이한 요소가 여럿 발견된다.
    국한문혼용본 <정을선전>(하버드대본)을 물질적, 시각적 요소를 고려해 살펴보았을 때, 한자 구결(口訣)과 반자(半字) 사용이 빈번하고, 한글을 파자화(破字化)해 이체자(異體字)로 표기한 것이 다수 보이며, 순우리말을 억지로 한자로 바꿔 표기한 흔적들이 이채롭다. 이러한 표기상 특성은 필사자와 국한문혼용본 향유층을 특정하는 한 근거가 된다. 중인 신분의 서리, 하급관리 출신의 필사자가 국한문혼용본 소설을 필사하면서 기존의 이두문 쓰기 습관과 비규범적 표기 방식을 추구하며 소설 읽기를 즐긴 결과라 할 것이다. 이본이 지닌 내용적 특성뿐 아니라 물질적, 시각적 특성까지 함께 고려할 때, 이본의 존재 가치를 다각도로 살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t version’s characteristics of Jeongeulseon-jeon(鄭乙善傳), a manuscript for mixed Korean and Chinese writings in the collection of Harvard University. More than 150 different versions of Jeongeulseon-jeon are mostly pure Korean versions and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content between different versions. However, Jeongeulseon-jeon in the collection of Harvard University is one of the three extant manuscripts for mixed Korean and Chinese writings, and it is rare, and a lot of notational characteristics in writing and style are found.
    When examining the mixed version of Korean and Chinese texts, Jeongeulseon-jeon(Harvard script) in consideration of material and visual elements,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gugyeol(口訣) and Banja(半字) notations are frequently used,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Hangeul is written in a different type of character by breaking down Hangeul. Not only have pure Korean words been transcribed into Chinese characters, but there are also many misspellings of Chinese characters. These notational characteristics serve as a basis for specifying the scribes and those who enjoy mixed versions of Chinese and Korean texts.
    These notational characteristics in Harvard University's Jeongeulseon-jeon are the result of a scribe from a middle-class position, Seo-ri(書吏), and a low-ranking official who enjoyed reading novels while transcribing novels mixed with Korean and Korean scripts, pursuing the existing writing habits of Idumun(吏讀文) and non-normative writing methods. Considering not only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ersions, but also materi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the existence value of different versions can be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