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입전수수(入廛垂手)를 통해 본 선(禪)의 자아관 (The View Point of Self of Chan (禪) Based on the Entering the marketplace with hang one’s hands down (入廛垂手)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8.12
27P 미리보기
입전수수(入廛垂手)를 통해 본 선(禪)의 자아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25호 / 45 ~ 71페이지
    · 저자명 : 박재현

    초록

    ‘소 그림’은 선(禪) 수행 과정과 완성 단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선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선에서 소 그림은 여러 형태가 전해지지만, 남송대 곽암(廓庵) 이후로 입전수수(入廛垂手)를 중심으로 소 그림이 독해되어 왔다. 10폭으로 구성된 그의 소 그림에서 입전수수 이미지는 깨달은 자가 시장통에 들어가 세상을 구원한다는 구원론적 맥락에서 받아들여졌고, 선의 사회 참여적 성격을 함축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여기에는 수행을 완성한 자의 강렬한 자의식을 기반으로 한 초월의식과 우월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대개 입전수수는 초월-구원의 관점에서 독해되어 왔고 수행이 완성된 후 즉 깨달은 이후의 시혜적 행동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선 전통에서 나타나는 많은 종류의 소 그림에는, 입전수수에 내포된 구원자의 시선 못지않게 쌍민(雙泯) 혹은 쌍망(雙忘)으로 상징되는 해체적 시선도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여기서는 능소(能所)가 해체되어 깨달은 자도 중생도 더 이상 따로 존재하지 않는 그 상태가 수행의 완성이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입전수수에 비중을 둔 곽암의 소 그림과 이에 근거하여 수행의 완성 단계를 초월-구원의 맥락으로 치우쳐 이해하는 것은 소 그림의 취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독해라고 할 수 있다. 입전수수를 사회 윤리적 혹은 참여적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아 해체와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공감의 정서 위에서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해체적 자아관을 통해 선의 사회 참여적 태도나 사회적 역할의식이 수반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Ox-Herding Pictures (十牛圖) is a symbol that visualizes the process of Chan (禪) meditation. The paintings are usually composed of 10 pieces, of which the entering the marketplace with hang one’s hands down (入廛垂手) was taken to imply completion of meditation practice. It is not clear, however, whether it is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the perfection of Chan meditation practice or a moral order or mission following it. Nevertheless, it has been strongly implied in the context of transcendence-salvation, and has been read from the viewpoint of sincere behavior after the enlightenment.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南宋, 127—1279), after the Kuò ān (廓庵) emphasized he Entering the marketplace with hang one’s hands down, the Ox-herding pictures was accepted in the context of the enlightened person entering the marketplace and saving the world. But it can also be transcendent or superior consciousness based on intense self-consciousness. To read the Ox-herding pictures in the context of transcendence-salvation is to emphasize only a specific part of the perfection stage of the performance shown by the Ox-herding pictures.
    In many other types of Ox-herding pictures, there is considerably more deconstructive gaze than the savior's gaze. Here,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deconstructed, and it is clear that the condition that the enlightened person and the world do not exist is the completion of the performance. Only when such a deconstructive self is completed, it can be accompanied by a socially participatory attitude symbolized by the entering the marketplace with hang one’s hands d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