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羅蕙錫의 초기 텍스트와 崔承九, 李光洙라는 컨텍스트 (Understanding Na Hye-sok’s Early Texts in the Context of Choi Seung-gu and Yi Gwang-su)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6.06
31P 미리보기
羅蕙錫의 초기 텍스트와 崔承九, 李光洙라는 컨텍스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4권 / 2호 / 309 ~ 339페이지
    · 저자명 : 나보령

    초록

    이 글에서는 羅蕙錫이 일본 유학 당시 崔承九, 李光洙와 함께 <學之光> 및 <女子界>를 중심으로 구축된 談論場에서 문필활동을 해나갔다는 사실에 착안해 羅蕙錫의 초기 텍스트가 이들과 어떤 어젠다를 공유하면서도 특수화시키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羅蕙錫의 텍스트는 <學之光>의 예술담론과 마찬가지로 예술을 삶의 절대의 문제로 추구하면서도, 이를 생활을 토대로 하고 생활의 만족을 극대화시켜주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특히 崔承九의 예술론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羅蕙錫이 시도한 생활의 예술화, 즉 예술을 생활의 영역으로 하강시키는 일은 생활이라는 여성에게 특권화 된 영역으로 예술을 이끌어오는 시도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李光洙의 『無情』과 「경희」를 함께 읽는 과정에서 두 소설이 모두 자유롭고 주체적인 개인으로 거듭나는 新女性像을 제시할 뿐 아니라, 그 같은 여성을 일종의 예술가로 형상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경희」가 『無情』의 서사를 이어 받으면서도, 병욱의 고민이 끝나는 지점에서 비로소 경희의 고민이 시작되는 양상을 서사화함으로써 進一步한 점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discuss the intimate exchange of ideas between Na Hye-sok, Choi Seung-gu and Yi Gwang-su during Na’s studies in Tokyo, as well as investigating what agenda she was promoting while also specializing her writing,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her literary activity in <Hakjigwang> and its sister magazine <Yeojagye>. Specifically, I intend to look at the influences these men’s texts had on Na’s creative focus point in this period, her works on art and wome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n the 2nd chapter I will take a fresh look at 「The Ideal Wife(isangjeok buin)」, which thus far has been read through the lens of feminism, in the context of the new discussions on art found in <Hakjigwang> and regarding Na’s other works of the time, 「Gyeonghui」, 「To the Revitalized Girl」 etc. as supplementary to Na Hye-sok’s artistic views. I will also take a look at how Na Hye-sok’s understanding of art(beauty) is shown in her literary works, and how she resonates with and separates herself from the artistic sensibilities of the ‘ideal artist’ Choi Seung-gu.
    I confirmed that Na Hye-sok’s texts of that period, and the art theory being published in <Hakjigwang> showed tendencies of seeking out art as one of life’s imperative questions while making art the cornerstone of life and understanding art as something through which to maximize one’s satisfaction in life which correspond with Choi Seung-gu’s art theory. However, Na Hye-sok’s attempts to make life into art, specifically her attempts can be seen as those trying to bring art into the territory of women. In this way one can see through 「Miscellaneous Thoughts(japgam)」 how Na Hye-sok uses Choi Seung-gu’s writings while also monopolizing them through her own particular critical thought process.
    In the 3rd chapter, I focus on the prominent female consciousness in Na Hye-sok’s texts and how it corresponds to the importance of Joseon women’s lives and rights, and the problem of female enlightenment in Yi Gwang-su’s texts of the same period, as well as the wide berth of intertextuality to be found between the two’s texts. In particular, I analyse the narrative of Byeong-uk in 『Heartless(mujeong)』 and noticing the similarities reiterated in Na Hye-sok’s 「Gyeonghui」 and how this can be seen as Na Hye-sok continuing the Yi Gwang-su’s narrative while discussing new problematic issu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even though 「Gyeonghui」 and 『Heartless』 have similarly focused narrative, when they arrive at the same conclusion, the point where Byeong-uk’s worries end are where Gyeonghui’s begin. To be specific, what sets 『Heartless』 and 「Gyeonghui」 apart is that suspicious and suffering Gyeonghui differs from Byeong-uk, who is an ideologue who iterates a simple and superficial platform saying that women are people too and should be allowed to learn, by being someone whose narrativized interiority is enlarged to the fullest and this difference is also were their most important literary results can be found.
    In addition to thi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Yeong-chae found it possible to live a new life by recreating her identity from being a gisaeng to that of an artist one can see that both stories are not only showing the image of a New Woman facing a feudalistic value system and reforming it to an independent individualistic one, but both stories also confirm that women embody a type of artist. The fact tha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ation in these two works, in art women were finally able to transcend the restrictions placed on them through traditional, feudalistic society by way of becoming self-aware through discovering that before they are someone’s wife or mother, they are a unique entity, an autonomous subject. This point of view is consistent with the artistic view found in Na Hye-sok’s early texts through which I attempted to shed new light upon particular elements related to a particular 1920s artistic education theory about Joseon women or the problem of women’s dress becoming more artistic or other such probl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