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池錫永 『兒學篇』의 표기 및 음운론적 특징 (A study on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aspects in Ji Seok-yeong's Ahakpyeon(『兒學篇』))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3.09
36P 미리보기
池錫永 『兒學篇』의 표기 및 음운론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83호 / 201 ~ 236페이지
    · 저자명 : 이준환

    초록

    池錫永 『兒學篇』의 표기 및 음운론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이본들의 검토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었다. 표기의 고찰을 통해 받침 표기는 7종성법을 따르고 있으며, 합용 병서는 초성에서는 ㅅ계가 쓰이고 종성에서는 ㄹ계가 쓰이고 있으며, 분철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고 원음에 따라 원칙적 표기를 하고 있으며, ㄹㄹ의 연쇄를 ㄹㄴ으로 표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음에서는 ‘․’가 규범 한자음의 표기에만 쓰이고 있으며, /ㅢ/는 /ㅅ/ 아래에서는 /ㅣ/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ˋ을 이용하여 장음을 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음운 현상으로는 구개음화가 설두음의 규범 한자음을 빼고는 모두 나타나고 구개성 자음 아래에서의 활음 탈락도 모두 이루어져 있고, 구개모음화 현상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유성음 사이에서 ㅎ탈락은 용언에서는 모두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며, 일부 비음동화와 비음화, /ㄴ/ 첨가 현상도 관찰된다. 원순모음화는 고유어와 한자음 모두에서 상당히 보이며, /․/는 /ㅏ/나 /ㅡ/로 나타나 음운 변화가 마무리됐음을 보여 준다. /ㅣ/ 모음 역행 동화도 꽤 보여서 형태소 내부나 형태소 경계에서 이 현상이 있음을 보여 주며, 그밖에 일부 고모음화 현상이 보인다. 모음의 길이와 관련해서는 대개 현대국어의 표준 발음과 일치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들은 중세국어에서는 대개는 상성이었던 것이며 일부는 거성이었던 것들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aspects reflected in definition word and Sino-Korean in Ji Seok-yeong's Ahakpyeon. In inquiring into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aspects, I referred and compared with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aspects in different versions. From this study I could see various linguistic fact as follows. The orthography of coda is 7 coda system. Writing the different consonant characters laterally attached is used ㅺ, ㅼ, ㅽ, ㅾ, ㅆ in initial and ㄺ, ㄻ, ㄼ in coda. Syllabication is widely used. From this tendency I could see that the spread of syllabication. Initial law is not broken nearly. With these orthography I discussed palatalization, front vowelization, deletion of /ㅎ/, nasal assimilation, nasalization, addition of /ㅎ/, vowelization, high vowelization, umlaut and realization of long vowels. Finally, I could see that long vowel which was marked by `coincide with Present-Korean's long vowel. The tone of syllable that have long vowel was mainly rising tone and high t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