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도(石濤)의 심(心)의 미학 (A study on mind in Shitao’s aesthet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8.08
23P 미리보기
석도(石濤)의 심(心)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40호 / 249 ~ 271페이지
    · 저자명 : 장선아

    초록

    석도의 핵심 사상은 심(心)에 있다. 그의 중심개념인 ‘일획론(一劃論)’도 궁극적으로는 심에 대한 논의이다. 즉 ‘일획’은 모든 만물의 근본원리로서 만물을 일체로 여기는 마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그 외에도 심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필(筆)과 묵(墨)’, ‘무법(無法)과 유법(有法)’, ‘전통과 예술창작’, ‘나와 대상 간의 소통’은 석도 미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였는데, 이들 모두 심과 관련된 논의들이다.
    석도가 살았던 명말∼청초 때에는 유ㆍ불ㆍ도 삼교합일의 성격이 가장 심화된 시기였다. 그의 심의 사상역시 유ㆍ불ㆍ도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석도는 단순히 기존의 심학을 종합적으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이론을 전개해나갔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을 받아들이고 판단하는 인식으로서의 심을 강조했다. 둘째, 일체의 속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심을 강조했다. 셋째, 나와 대상 간에 소통하는 심을 강조했다. 넷째, 대립적인 것들이 조화롭게 통일된 불이(不二)로서의 심을 강조했다.
    이와 같이 석도는 일정한 형식이나 전통의 얽매임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한 예술정신을 추구하며, 다른 것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널리 포용하며, 대상과 서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re ideology of Shitao resides in the Mind. One-stroke theory, his main concept, is discussion on the Mind ultimately. He considered it as 'Single-stroke' originated from the Mind that thinks of all things in a body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all things. Besides, the Mind is used as various meanings. For example, 'Brush and Chinese ink', 'the Way of Nothingness and the Way of Being or Doing', 'Tradition and Creation of Art', 'Communication between Object and Me' were most important keywords in the aesthetics in Shitao, but all of which are discussions related to the Mind.
    Period from Late Ming Dynasty through Early Qing Dynasty when Shitao lived was that the unity of the three religions lik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as most deepened. His ideology of the Mind was affected by all the characteristic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Shitao has developed his unique theories on his own, not simply accept the existing School of Mind synthetically. Accordingly, his School of Mind has originality in his own way.
    From the characteristics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he emphasized the Mind as recognition which takes and judges things as they are.
    Second, he emphasized the free Mind which could not be tied in any constrains.
    Third, he emphasized the communication between Object and Me'.
    Fourth, he emphasized the Mind as non-duality which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is united harmoniously.
    As above, Shitao thought that it needed to pursue very liberal spirit of art escaping from the fixed form or bound by tradition. He thought that it required tolerance or generosity, not exclude the difference from me. In addition, he thought that it needed to be unif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each other, not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object unilater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