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顚과 漢岩을 통해 본 불교와 시대정신 (Buddhism and Zeitgeist seen with Seogjeon(石顚) and Hanam(漢岩))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4.09
33P 미리보기
石顚과 漢岩을 통해 본 불교와 시대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1호 / 63 ~ 95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일제강점기 한국불교는 메이지유신 초에 娶妻.肉食이 완전 허용된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청정한 출가승단의 전통이 위기에 직면한다. 당시 불교지식인들은 조선조의 무력한 한국불교에 대한 자기비판과, 강국 일본의 위상을 후광으로 가진 일본불교를 비교하며, 무분별한 일본불교 배우기에 앞장선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한용운이다. 한용운은 총독부에 帶妻에 대한 건의서까지 제출하면서, 한국불교를 일본불교와 같이 선진화시키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이것은 한국불교의 전통을 무너트리는 오판이었다.
    石顚은 일제강점기 禪.敎.律에 능한 최고의 敎學 승려로써, 대처가 문제되자 戒律교육을 통해 일본불교의 영향을 막아내고자 한다. 이렇게 해서탄생한 저술이 ..戒學約詮..이다. 또 석전은 스스로도 청정한 戒行을 지켜, 승려로서의 반듯한 모범을 보인다. 이와 같은 석전의 불교계 위상은, 1929년과1946년에 한국불교의 최고 어른인 敎正에 추대되도록 한다.
    漢岩은 석전과 조금 늦은 동시대인으로, 일제강점기 禪수행의 최고 경지에 이른 분이다. 한암은 禪師들이 등한시하기 쉬운 敎學과 戒行에도 철저했다. 그로 인하여 스승인 鏡虛의 남성적인 禪風과는 다른, 부드러운 여성적인선풍을 개척하게 된다. 특히 한암의 선풍은 엄격한 계율과 결함되어 ‘禪戒一致’라는 독특한 경계를 정립한다. 이러한 禪戒一致의 청정한 선풍은, 오늘날선진국으로 접어드는 한국사회에 있어서 가장 적합하고 귀감이 되는 수행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암의 敎學과 律에도 능통한 禪師로서의 모습은, 한국불교의 사표가 되기에 충분했다. 그래서 1929년.1935년.1941년.1948년, 이렇게 무려 4차례나 敎正과 宗正이라는 한국불교의 최고 지위에 오르게 된다.
    석전과 한암은 일제강점기와 해방직후 한국불교를 주도했던 분들로, 오늘날 한국불교의 초석을 다지신 분들이다. 그러므로 미래로 나아가는 한국불교에 있어서, 이 분들의 가르침은 더 없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Under the Japanese Buddhism that fully allowed monks to take wives and eat meats in the early Meiji Restoration, Korean Buddhism faced a great crisis in keeping the pure tradition of home-leaving saṃgh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ose days, many Buddhist scholars led the reckless movement to learn the Japanese Buddhism, criticizing the powerless Korean Buddhism and comparing it with Japanese Buddhism actively supported by mighty Japanese government. The typical person was Han Yong-wun. He made effort to make Korean Buddhism ‘advanced’ as like Japanese one, sending the Japanese Governor a letter of suggestion about the monk’s wife-taking. But, it was a wrong judgment that destroyed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Seogjeon(石顚), a monk in the age of Japanese colony, was one of the most excellent Buddhist scholars who was expert in Zen(dhyāna), Doctrinal(vinaya) and Disciplinary(śīla) Buddhism. When the wife-taking became an issue, he tried to block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rough the disciplinary education. The result was his book <Gyehag Yagjeon(戒學約詮)>. Furthermore, Seogjeon himself kept on the pure disciplinary way of life, showing an upright standard for monks. With this, Seogjeon’s status went high in the Buddhist world and he was elected as Gyojeong(敎正) the highest master of Korean Buddhism in 1929 and 1946.
    Hanam(漢岩) was a little younger than Seogjeon. Hanam became the supreme Zen master in those days. He was very strict in the doctrine and the discipline which had been frequently neglected by other Zen masters.
    Due to this, he came to develop the soft and rather feminine style of Zen while his master Gyeongheo(鏡虛) showed the masculine style of Zen.
    Especially, Hanam’s Zen style was combined with the strict discipline to establish a peculiar range named ‘Seongye Ilchi(禪戒一致, unity of Zen-Discipline).’ This fresh Zen style of Seongye Ilchi is noteworthy for a very appropriate and desirable practice method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which is going into the advanced one.
    Hanam was so expert in Doctrinal and Disciplinary Buddhism as well as Zen that he became a good model of Korean Buddhism. Therefore, he became Gyojeong and Jongjeong(宗正) of Korean Buddhism four times in 1929, 1935, 1941, and 1948.
    Seogjeon and Hanam were the leader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right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laying the foundations of present Korean Buddhism. Their teachings will be a good guideline for the Korean Buddhism that is preparing the future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