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몰입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llege student immers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4.12
13P 미리보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몰입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24호 / 245 ~ 257페이지
    · 저자명 : 문경연, 심태은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몰입과 관련하여 진행된 선행연구의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연구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몰입과 관련 총436건의 논문을 바탕으로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였고, 대학생 몰입에 관한 주요 키워드, 대학생 몰입 관련 연결성의 양상, 대학생 몰입에 관한 네트워크 키워드 간의 군집 관계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시 워드 클라우드, 단어빈도, 키워드 TF-IDF 값과 사회 연결망 분석 등을 위하여 매트릭스를 추출하여 값을 도출하였다. 더하여 대학생 대상 몰입 관련 연구에서 동시적으로 나타나는 키워드들의 관계성을 N-gram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어의 유사군집을 도출하기 위하여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학생 대상 몰입관련 논문들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시기적으로 2011년 이후 몰입과 관련된 연구들이 확대되었고 COVID 시기를 전후하여 다양한 관점의 연구들이 학문적 흐름을 형성하였다. 역량개발, 학습몰입, 진로선택 등과 관련한 몰입 키워드의 연구 주제가 두드러졌다. 또 다양한 조직 내의 소통과 협업이 디지털 미디어를 전제로 가능해졌음을 확인하고, 디지털기기나 미디어 소통에 대한 몰입으로 연구대상이 구체화되는 경향도 보였다. 청년 세대들이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여가 및 웰빙과 관련된 몰입 현상을 만들어 내는 사회적 현상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확인하였다. 한편 예측불가능한 사회 전망 속에서 대학생들의 몰입이 문제적인 대상으로 향하게 되거나 부정적인 행동 양상으로 치우치는 현상도 두드러지게 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지금까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방법론을 통해 대학생 몰입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가 향후 대학생 관련 몰입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타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of previous research on immersion involvi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 identify the patterns within this body of research.
    Methods Based on a total of 436 papers related to immersion, this study utilized Textom to apply text mining techniques, analyzing key keyword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 immersion, patterns of connectivity concerning student immersion, and clustering relationships among network keywords related to student immersion. For analysis, matrices were extracted to calculate values for word clouds, word frequency, keyword TF-IDF value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co-occurring keywords in studies on student immersion using N-gram analysis. CONCO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derive word similarity clusters.
    Results Through an analysis of studies on immersion involving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were derived. Since 2011, studies related to immersion have expanded, with a variety of perspectives forming academic trends, especially around the COVID period. Research topics related to immersion, such as competency development, learning engagement, and career choice, were prominent.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in various organizations became possible on the basis of digital media, with a trend toward focusing on immersion in digital devices and media communication as specific research subjects. There was also an academic interest in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younger generation pursuing happiness through immersion experiences related to leisure and well-being. On the other hand, it was noted that in an uncertain social outlook, students’ immersion has increasingly become oriented toward problematic subjects or skewed toward negative behavioral patterns.
    Conclusions As there have been no prior studies analyzing trends in university student immers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loring new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 immer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