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미국유학생의 기독교 인식과 학습 (Korean student studying in America’s Christian Thought and studi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0.08
29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미국유학생의 기독교 인식과 학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54권 / 183 ~ 211페이지
    · 저자명 : 장경호

    초록

    본 논문은 미국 유학생들의 기독교 인식과 그들이 기독교를 어떻게 학습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진 문물을 배우기 위하여 미국 유학길에 올랐던 일부유학생들은 귀국 후 미션스쿨에 교수로 종사하였다. 또한 일부는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에 요직을 맡거나, 서울 내 각종 주요사립학교 창립에 기여하였다.
    특이한 점은 이들이 도미할 때 90프로 이상이 기독교신자였으며, 신학 전공을하는 이들이 많았다는 점이다. 또한 본 전공 외에 신학사를 별도로 취득하는 이들도 있었다. 신학 전공자들은 프린스턴 신학대학에 가장 많이 진학하였다.
    청교도적인 엄격한 기독교 교육을 받았던 유학생들은 도미하여 기독교를 두고 여러 가지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선교사들이 우려했던 것과 같이 유학생들은 선교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면서도 고국으로 돌아가 선교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했다. 이를 두고 한영교는 유학생들이 편하게 선교를하려고 한다고 비판했으며, 이후 한국에서 신사참배문제가 불거지자 유학생들은 한국기독교학생총회를 꾸려서 이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그들이 쓴 기독교 관련 논문을 보면 특정 인물에 대한 분석부터 미션스쿨 커리큘럼, 교회 음악 등 실용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공으로 기독교를공부하였다. 또한 네비우스 선교 관련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리뷰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백낙준, 임영신 등 일부 유학생 출신은 그들이 배운 기독교 사상을미션스쿨에 투입시키려 노력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the Christian Thought of Korean studying in America and how they study Christianity. People who had a purpose of learning advanced culture went to the America worked in the Mission school as a professor after they returned to the Korea. Also they played a key role in establishing private University(including Mission School) in the Seoul and also held positions in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Specially over 90 percent of them were Christians and majored in Theology. Also some people had a double major in theology(B.D). Their best university of majoring in Theology wa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Students who had a strict puritan education started to had many of the views of Christianity after arriving the America. They reached an agreement about mission but they did not come to an agreement about mission in Korea.
    Missionaries in Korea felt concern about the fact. Some students raised their voices in criticism of not coming back to Korea. And they made Korean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in oder to solve the problem of shrine worship in the Korea.
    Thesis written by students who majored in theology were various things such as Curriculum of Mission school, person, Christianity Music. Also they reviewed dissertation about Nevius Mission Plan. Students tried to put their Christianity thought into Mission school after the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