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용전공생의 교사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regular dance teacher experienced by students majoring in danc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9.03
27P 미리보기
무용전공생의 교사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16권 / 25 ~ 51페이지
    · 저자명 : 박지숙

    초록

    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에 있어, 직전교사교육단계에 관한 무용전공생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적용한 교육과정 탐구사례 연구이다. 무용전공생이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실제로 경험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대학교와 교육대학원의 교육적 경험을 지닌 세 명의 무용전공생으로 부터 자서전적 글쓰기, 저널쓰기, 인터뷰, 대화, 교육실습 일지, 전자우편 형태로 약 7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부합되는 같은 맥락의 이야기들을 묶어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주제어를 찾아 재구성 하였다.
    연구 결과,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겪었던 경험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은 졸업 후, 대학에서 배운 교육과 현실과의 괴리로 자신의 능력과 직업 선택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대학 무용(학)과가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재능을 가진 무용전공생의 잠재적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무용 정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체육교육전공과 무용교육전공은 교육목표의 성격을 각각 다르게 규정하고 있었지만 실제 체육중등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전공 기본이수과목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두 교육과정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이에 무용교육전공 과정은 교육목표와 실제 교육과정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고, 무용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무용 정교사의 역량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은 교육대학원 진학 초기, 체육이론에 중점을 두면서 부담감을 느끼게 되며 점차적으로 체육 실기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졌다. 이에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전공실기에 대한 교육이 새롭게 정립될 필요성을 느끼게 되면서 무용 전공생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좀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교육과정을 요구하였다. 넷째, 무용전공생이라는 공통된 특징 아래 체육 실기 능력의 부족으로 교육실습 시 체육교사로서의 능력에 한계를 느끼고 있었지만 실습의 모방상대인 지도교사를 통해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혀나가고 있었다. 동시에 교육실습은 직전교사에게 있어 필수적인 교육과정으로 실제 중등학교 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회임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성상,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일반화된 원리를 찾기 보다는 무용전공생들이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 현장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 생생한 경험들과 그 경험의 의미를 통해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is an inquiry case on a curriculum carried out by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research investigates experiences of students who specialized in dance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ve stated the actual contents of experience concretely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he exploration was carried out to define what meaning the experiences they have gone through have.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discussion about the experience, which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have gone through as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of socialization process of regular dance teacher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difficulty due to the lots of conflicts and confusion about their own ability and selection of a job after graduation, which were mainly caused b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education received at universities and the reality. Secondly, it was found out that though the educational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which was designed to cultivate regular dance teachers,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goals separately for each, the major of P.E. education and the major of dance education,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urses. Thirdly,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had been overwhelmed because the courses were centered on P.E. theories at the early time when they entered graduate schools, and the burden was connected to the concern about the practical skills of P.E., so they felt necessity the re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of major practical skills in the course of education graduate schools. Fourthly, under the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perceived the limited ability as a P.E. teacher due to the shortage of P.E. practical skills, but they were narrowing difference between theories and realities through the imitation of the guidance teacher in the on-the-job training.
    As stated in the above content,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s an important research method to demonstrate vivid experiences of a dance teacher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o obtain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rather than to seek general principles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