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보건 계열 대학생의 음주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edical and Health-Related Majors on Drinking Culture)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1.11
6P 미리보기
의·보건 계열 대학생의 음주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학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2권 / 11호 / 5043 ~ 5048페이지
    · 저자명 : 김광환, 한진숙

    초록

    본 연구는 의·보건 계열 학생의 음주 인식을 파악하여 음주인식이 음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지방의 두 도시에 소재한 의·보건 계열 대학생 153명을 랜덤 샘플하여 의학 계열 86명과 보건 계열 67명에게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5월 1일부터 2011년 9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보건 계열 학생들이 음주로 인해 지난 1년간 생활에 지장을 받은 경우가 75.8%로 매우 높았으며, 음주 인식도가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술은 사람의 기운을 북돋워 준다’ (p<.001), ‘술을 먹으면 숙면을 취한다’(p<.01), ‘친한 친구들과 자주 과음 한다’, ‘해장술은 숙취에 도움을 준다’, ‘술은 간에 제일 영향을 준다’ (p<.05)의 음주 인식도가 음주량 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모든 변수들이 43.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음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간접으로 학습한 의·보건 계열의 대학생들은 음주량이 적고 폭음하는 경향이 적다. 이들의 인체와 음주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음주 교육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rinking awareness of medical and health-related majors in a bi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drinking awareness on drink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3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rendem sampling from colleges located in two different cities in the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may 1 to september 20, 2011 with total 153 college students. Out of them, 86 students majored in medical departments, and 67 students were in the health-related departments. After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A great deal of the students who accounted for 75.8 percent were ever disturbed in daily routine life by drinking over the past year. As for the influence of drinking awareness on the amount of drinking, the amount of drinking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following five items. The first was that alcohol was an energizer(p<.001), and the second was that drinking led to a sound sleep(p<.01). The third was that I drank too much with my close friends often(p<.05), and the fourth was that alcohol used as a hangover-chaser was conducive to a hangover(p<.05). The fifth was that alcohol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 liver(p<.05). All the variables made a 43.4% prediction of the amount of drinking.
    In conclusion, the medical and health-related majors who learned about the impact of drinking on the human body in a firsthand or secondhand manner had a tendency to drink a less amount of alcohol and do less binge drinking. It's advis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and health-related majors on the human body and drinking as resources of anti-drinking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