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대생 섭식장애 위험집단의 MMPI-2 프로파일 양상 (MMPI-2 Profi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a High Risk for Eating Disorder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9.08
15P 미리보기
여대생 섭식장애 위험집단의 MMPI-2 프로파일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임상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28권 / 3호 / 651 ~ 665페이지
    · 저자명 : 임지영

    초록

    본 연구는 섭식장애 위험성이 높은 여대생들의 MMPI-2 프로파일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449명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KEAT-26과 DSM-IV 섭식장애 진단기준에 기초한 섭식행동검사를 실시하여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25명)과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23명)을 선별하고, 섭식장애 비위험집단 중 30명을 무선표집하여 각 집단의 MMPI-2 프로파일을 비교하였다. 두 섭식장애 위험집단의 MMPI-2 평균 프로파일양상은 유사하였다. 평균 비교결과, 타당도 척도 중 F, Fb, Fp척도에서, 그리고 임상척도 중 Mf를 제외한 모든 임상척도에서 섭식장애 위험집단과 비위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보다 F, Fp, Pa, Sc, Ma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내용 및 보충척도의 경우, ASP, SOD, APS를 제외한 대부분의 척도들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특히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에 비해 OBS, HEA, BIZ, ANG, TPA, FAM, MAC-R척도가 상승을 나타냈다. PSY-5 척도 중에서는 PSYC, NEGE, INTR척도에서 섭식장애 위험집단과 비위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은 신경성 식욕부진증 위험집단보다 PSYC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단계적 판별분석 결과, 편집증적 경향, 불안 및 강박적 경향, 충동성, 그리고 중독적 경향이 세 집단을 변별해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 the MMPI-2 profi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 high risk for eating disorders. A sample of 449 female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KEAT-26 and the eating disorder screening test based on DSM-IV diagnostic criteria Twenty-five women were identified as being at high risk for anorexia nervosa and were identified as being at high risk for bulimia nervosa. Thirty wom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students who a low risk for anorexia or bulimia, the group. Mean MMPI-2 profile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with a high risk for eating disord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on the F, Fb, Fp scales and all the clinical scales except for Mf. The students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significantly elevated scores on the F, Fp, Pa, Sc, Ma scales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Most of the content and supplementary scales except for ASP, SOD, and A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Women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OBS, HEA, BIZ, ANG, TPA, FAM, MAC-R scales. Three of the PSY-5 scales (PSYC, NEGE, INT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significantly PSYC scores than did the students with a high risk for anorexia. The results of th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es indicated that paranoid features, anxiety and obsession, impulsiveness, and addictive features may be important in discriminating among women with a high risk for bulimia anorexia and contro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