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하일기』 <옥갑야화> 수록 허생후지 연구 (A Study on the Heosaengfuji許生後識 included the “Okgapyahwa玉甲夜話” of the Yeolhailgi熱河日記)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1.09
33P 미리보기
『열하일기』 &lt;옥갑야화&gt; 수록 허생후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68권 / 68호 / 105 ~ 137페이지
    · 저자명 : 정재철

    초록

    박종채가 『연암집』을 편찬하기 위해 필사한 『연암집초고보유(9)』에는 연암이 지은 <서허생사후>가 수록되어 있다. 이 글은 옥류산장본 『열하일기』의 <진덕재야화>에 수록된 연암후지를 옮겨놓은 것이다. 그런데 연암은 이 허생후지를 『행계집』에 옮겨쓰면서 <진덕재야화>의 제목을 <옥갑야화>로 바꾸고 내용 또한 다른 것으로 교체하였다. 이어 그는 『잡록(하)』, 『열하일기(정)』에서 <옥갑야화>의 제목을 <옥갑야어>로 바꾸고 이곳에 교체한 허생후지를 수록하였다. 현재 박영철본 『열하일기』의 <옥갑야화>에는 위와 같이 연암이 교체한 허생후지가 수록되어 있다.
    연암은 <진덕재야화>에 쓴 허생후지에는 다음 세 가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첫째, 허생의 이야기를 의로운 행동을 하였거나 나라에 공을 세운 염시도, 배시황, 완흥군 부인 등과 함께 언급하여, 허생이 의로운 인물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 것이다. 둘째, 윤영에게서 허생의 이야기를 듣고 ‘詭奇怪譎’하다고 말하거나 허생의 처세에 대해 ‘玩世不恭’하다고 말하여, 사람들이 연암 문장을 비판하는 증거로 삼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셋째, 허생 이야기를 들려준 윤영이 폐족이거나 좌도 이단으로 세상에서 도피한 사람이라고 말하여, 연암이 불순한 무리와 어울린다는 빌미를 제공한 것이다.
    연암이 <옥갑야화>에 다시 쓴 허생후지는 글의 구성이나 주제의 표현에 있어서 다음 세 가지 내용이 주목해볼 만하다. 첫째, 이 글의 첫 부분을 ‘或曰’이라고 써서 <옥갑야화>를 구성하고 있는 일곱 가지 일화에서 다른 일화의 하나를 추가하여, <허생전>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낸 것이다. 둘째, 이 글의 주인공인 조계원의 역할이 비판하는 인물에서 비판을 당하는 인물로 전환하여, 북벌론의 허구성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낸 것이다. 셋째, 주인공인 조계원이 망한 명나라의 장수로 설정된 승려들에게 조롱당하는 장면을 묘사하여, 당시 국제 정세에 등한했던 북벌론자들의 무능력과 무지함을 드러낸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열하일기』 이본들에서 <진덕재야화>와 <옥갑야화>에 각각 다른 내용으로 쓰여있는 허생후지를 대상으로, 연암이 <진덕재야화>에 수록된 허생후지를 교체한 이유와 함께 <옥갑야화>에 수록된 허생후지에서 보여준 주제의식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열하일기』의 이본이나 <허생전>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the Yeonamgipchogoboyou(9)燕巖集草稿補遺(9) written by Park Jongchae to compile Yeonamgip燕巖集, he wrote “Seoheosaengsafu書許生事後” written by Yeonam燕巖. This text is a transcription of Heosaengfuji許生後識, which was included in the “Jindeokjaeyahwa進德齋夜話” in the Okryusangangbon玉溜山莊本 Yeolhailgi熱河日記. But Yeonam changed the name of “JindeokjaeYahwa” to “Okgapyahwa玉甲夜話” while transferring Heosaengfuji to Haenggyejip杏溪集. He then changed the title of “Okgabyahwa” from Japrok(ha)雜錄(下) and Yeolhailgi(Jung)熱河日記(貞) to “Okgabyaeo玉甲野語.” Currently, the “Okgapyahwa” of Park Yeong-cheol朴榮喆's Yeolhailgi contains Heosaengfuji replaced by Yeonam.
    This article is currently included in the “Okgabyaeo” of the Yeolhailgi by Park Young-chul.
    I thought there were three problems with the contents of “Heosaengfuji”, which was written in “Jindeokjaeyahwa” in Yeonam. First, Yeonam, the Yeom Si-do廉時道・Bae Si-hwang裵是晃・The wife of Wanheunggun完興君, etc. who made a righteous act of Heosaeng's story or made a contribution to the nation, and This leaves room for people to understand that Heosaeng was also a righteous figure. Second, after hearing Heosaeng's story from Yun Yeong尹暎, he said ‘ulcerated ulcer', and He said he was ’Irreverence by  casting upon the world’ about the situation of Heoaeng. This allowed people to use it as evidence to criticize the Yeonam sentence at the time. Third, Yeonam said that Yun Yeong, who told the story of Heosaeng, was either a closed family or a left-handed heretic who fled the world. This explains to those who watched Yeonam's behavior at the time, such as Honggukyeong, that he was associated with an impure group.
    “Heosaengfuji”, which Yeonam rewrote, deserves attention to the following three conte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article and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matter. First,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starts with a letter ‘Some  say或曰’, In addition to the seven anecdotes that make up the “Okgapyahwa”, The theme of “Heresaengjeon許生傳” is more clearly revealed. Second, the role of Jo Gye-won趙啟遠, the main character of this article, was changed from a criticized person to a criticized person, The fictional nature of the Northern Expeditions has been revealed more clearly. Third, the main character, Jo Gye-won, was ridiculed by monks who were set up to be masters of the Ming Dynasty, It revealed the incompetence and ignorance of Northern Expeditions activists who were neglected b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at time.
    As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eosaengfuji, the only two species left in Yeolhailgi. And the reason why Yeonam replaced Heosaengfuji, which was included in the “Jindeokjaeyahwa”,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theme consciousness of Heosaengfuji's correctional process included in the “Okgapyahwa”. In this regard, I think this study will help to study a  different  version of the Yeolhailgi or “Heresaengj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