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정서에 따른 이미지반응 연구 (A Study to Investigate an Assoc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s and the Images Drawn to Express the Emotion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06
24P 미리보기
대학생의 정서에 따른 이미지반응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18권 / 3호 / 597 ~ 620페이지
    · 저자명 : 신영희, 김갑숙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별 이미지에 나타나는 반응을 형식과 내용으로 분류하여, 정서와 이미지반응간에 유사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미술치료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지역 대학생 455명(남:179명, 여:276명)이었으며, 자료는 미술치료사 및 미술치료전문가자격을 소지한 검사자 5명의 도움을 받아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정서강도자가측정질문지와 정서별 그림시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에 따른 이미지형식을 빈도분석한 결과 6가지 정서(기쁨, 분노, 슬픔, 공포, 혐오, 놀람) 모두 그림과 제목이 일치하며, 구상화표현이 많았다. 기쁨은 긍정적, 분노․슬픔․공포․혐오는 부정적, 놀람은 모호한 분위기 표현이 많았다. 이미지 수는 기쁨, 분노, 공포, 혐오, 놀람에서는 1개의 표현, 슬픔은 2개의 표현이 많았으며, 공간의 사용정도는 기쁨, 분노, 공포, 놀람에서 25~50%이하, 슬픔과 혐오에서는 25%이하의 용지사용이 많았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정서별 이미지형식이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가지 정서에서 공통적으로 이미지 수, 공간상징, 지우기에서 남녀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에 따라 표현한 이미지 내용으로는 사람을 많이 표현하였으며, 주로 축약되고 생략된 인물상을 나타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an assoc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s and images drawn by them, so the findings could be used in establishing objective standards to be used when art therap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455 college students (179 male and 276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assisted by 5 licensed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he test instruments wer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f emotional intensity and a set of sheets on which emotions were to be drawn. The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of the data were computed on SPSS/WIN 19.0.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ll the titles of the emotions (pleasure, anger, sadness, fear, hate, surprise) matched the drawings, many of which were drawn in a representational style. Pleasure was expressed positively. Anger, sadness, fear, and hate were expressed negatively. Surprise was expressed in a rather ambiguous representation.
    In the number of the drawn items, many of the participants drew one item to express emotions such as pleasure, anger, fear, hate, and surprise, whereas many of them drew two items to express sadness. In the use of the drawing space, many of the participants used about 20-50% of the space or below to express pleasure, anger, fear, and surprise. To express sadness and hate, many of them used 25% of the space or below.
    Second, a crosstab analysis to see any association between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hapes of the drawn items showed that the 6 emotions showed gender difference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number of drawn items, space symbolism, and erasing. Third, many of the drawn items in the 6 emotions were humans, largely drawn in a simplified and reduced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