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 단기 해외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 차이 경험에 관한 연구: 여대생의 동남아시아 방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Korean Young Sojourners in a Collective Short-Term Experiential Learning Abroad Program: Focusing on Group Dynamic of Femal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3.10
38P 미리보기
대학생 단기 해외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 차이 경험에 관한 연구: 여대생의 동남아시아 방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47권 / 5호 / 171 ~ 208페이지
    · 저자명 : 이선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의 해외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단기 해외체류자의 깊은 문화 차이 경험 과정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탐색한다. 문화 차이 경험이 집합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젠더와 문화 간 조우의 컨텍스트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 연구는 여대생의 동남아시아 방문이라는 컨텍스트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 A 여자대학에 의해 조직화된 단기 해외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아시아 6개 국가에 파견된 12명의 여대생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장기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이주민을 대상으로 문화적 혼종화 혹은 문화적응의 관점에서 개인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는 문화 간 조우의 갈등적 상황에 처한 단기 해외체류자의 문화 차이 경험, 특히 낯선 상황에서 그들이 활용하는 사회적 관계와 문화 경계 침범의 집합적 동학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 결과는 문화 간 만남 혹은 타문화에의 노출만으로는 지구적 공존을 위한 과제인 타문화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해외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 간 조우 상황에서, 문화 차이 경험의 몇 가지 유형이 발견된다. 차이의 오해에 기초한 타문화에 대한 고정적 심상 형성과 상대화에 기초한 타문화에 대한 유연한 심상 형성이 그것이다. 첫 번째 유형은 문화 갈등 상황에 직면했을 때 문제해결과 결합된 ʻ가장(pretend)ʼ 전략을 사용한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며, 두 번째 유형은 문제해결과 결합된 ʻ자각과 성찰ʼ 전략을 사용한 사람들에게서 발견된다. 이 유형의 차이는 무엇보다도 호스트와의 신뢰 정도에 의존한다. 호스트와의 신뢰 형성은 또래 호스트들과의 친밀감 형성 정도와 -낯설고 갈등적인 상황에 대해- 설명을 제공하는 중재인의 존재 여부에 의존한다. 더불어 한국인 팀원 간 ʻ우리 의식ʼ 강화의 의례 역시 유형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집합적 의례를 통해 단기 해외체류자들은 문화적 경계를 침범하는 경험 중에도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며, 이 집합적 과정을 통해 문화적 경계와 타협한다. 마지막으로, 세계화 및 다양한 유형의 국제이주와 함께 한 사회의 문화적 경계 안에서 당연시되던 사회관계의 규칙들이 급속히 해체되고 있는 이 때, 사회학은 다양한 컨텍스트에서 발견되는 탈영토화-재영토화의 미시적 기제들을 밝히고 세련화 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제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question of how Korean young sojourners experience deep cultural differences with other Asians based on grounded theor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Korean female participants in a short-term experiential learning abroad program dispatched to 6 Asian countries. Each team has about 10 members, the program consists of cultural exchange program with their counterparts in host universities for 7-10 days, outreach program for another 1 week, and travel for 3-4 day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migrants or long-term settler, and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of cultural hybridization/or adap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lineate collective experience of cultural difference by Korean female sojourners in the cross-cultural encounter, focusing on social relations and collective dynamics.
    The results show that intercultural contact itself does not guarantee flexible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In the cross-cultural encounter through short-term experiential learning abroad program, some different patterns in experiencing cultural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uilding misconception on cultural difference through mis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Building new conceptions on both Korean and other cultures, which are further subject to change. The first pattern is identified among people who practice ʻPretendʼ strategy in intercultural interaction after facing culture shock. The second type is found among people who employ the ʻreflectionʼ strategy.
    The different patterns significantly depend on trust with their hosts, and ʻwe-consciousnessʼ reinforcing rituals by Korean teammates. Trust with host is built by strong emotional familiarity with peer counterparts, and intellectual input by some mediators(or cultural translators) who provide the sojourners with explanations on whatʼs happening in the strange place. We-consciousness reinforcing rituals among Korean teammates is also crucial in identifying different patterns of intercultural experience. Through the collective rituals they try to restore the sense of identity even in transgressing the cultural boundary, by which they negotiate with the cultural bound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