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씨춘추』의 생사관 고찰 (A Review of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Lüshichunqi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4.12
25P 미리보기
『여씨춘추』의 생사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3권 / 4호 / 155 ~ 179페이지
    · 저자명 : 옥현주

    초록

    본 논문은 『여씨춘추』의 생사관을 개괄한 것이다.『여씨춘추』의 생사관은 주로 「십이기」에 분포되어 있는데, 봄에 속한 「본생」, 「중기」, 「귀생」, 「정욕」, 「진수」편에는 생명관이 집중적으로 서술되고, 겨울에 속한 「절상」, 「안사」, 「사절」, 「충렴」편에는 죽음관이 집중적으로 서술된다.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기획한 의도는 당시 법가의 군주 전제론을 견제하고, 군주를 권면하기 위해서이며, 나아가 통일제국의 번영과 안정을 도모하려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여불위의 정치적인 의도는 생사관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본 논문이 선행연구와 다른 점은 『여씨춘추』의 생사관을 생명관과 죽음관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고 종합했다는 점이다. 『여씨춘추』의 생명관은 군주를 겨냥하여 양생을 강조한 반면, 죽음관은 신하를 겨냥하여 사생(捨生)을 강조했는데, 이것은 여불위의 정치적인 의도가 반영된 구도이다. 먼저 생명관에서 양생의 원칙으로 제기한 생명 중시사상은 당시 진나라의 통치이념인 법가의 엄벌주의에 대한 비판의 일환이다. 그리고 절욕은 군주의 사치에 대한 권면을 담고 있다. 『여씨춘추』의 죽음관에서는 국가와 군주를 위해서 생명을 바친 충신들과 목숨을 걸고 군주에게 간언하는 의로운 신하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서 여불위가 신하의 유위를 전제로 한 군주의 무위를 주장하는 무위정치론을 선호했으며, 사생도 불사하는 훌륭한 인재와 이러한 인재를 등용하는 군주와의 협업체계를 강조했음을 알 수 있다. 여불위가 이토록 충신과 인재를 강조한 것은 진왕의 권력집중을 제한하고, 군주와 신하가 권력을 나누자는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Lüshichunqiu』was summarized.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Lüshichunqiu』is found mainly in 「Sibigi(The Twelve Records」. The discussion on the view of life is focused in the chapters of 「Bonsaeng」, 「Junggi」, 「Gwisaeng」, 「Jeongyok」, and 「Jinsu」, which all belong to spring, while that on the view of death is concentrated in a discussion in the chapters of 「Jeolsang」, 「Ansa」, 「Sajeol」, 「Chungryeom」, which all belong to winter. By planning 『Lüshichunqiu』, LǚBùwéi intended to hold the ruling theory of despotic king of the School of Law of those times in check, encourage monarchs, and furthermore, pursue prosperity and stability of the unified empire.
    This political intention of Lǚ Bùwéi is also revealed through the view of life and death. This thesis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in that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Lüshichunqiu』 was categorized into the view of life and the view of death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ew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While the view of life in 『Lüshichunqiu』 targets monarchs and emphasizes life-nurturing, the view of death targets vassals and emphasizes devotion of life(捨生, Sasaeng), which is the structure where Lǚ Bùwéi's political intention is reflected. First, the philosophy of respect for life suggested as a principle of life-nurturing in the view of life is a part of criticism of severe criminal punishment of Legalism, the governing ideology of Qin Dynasty. And abstinence contains encouragement regarding a monarch's extravagance. In the view of death in『Lüshichunqiu』, loyal vassals who sacrificed their life for their nations and monarchs, and righteous vassals who reconstructed to a monsrch risking their life are introduced. It shows that Lǚ Bùwéi preferred the theory of Non-Action Politics that claims a monarch's doing nothing on the premise of vassals' doing something, and highlighted great, talented men risking their own life and death, and the cooperation system with a monarch appointing these talented individuals. Lǚ Bùwéi stressed loyal vassals and talented men much for the political intention of limiting the concentration of power to a monarch and dividing power between a monarch and vass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