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공감학습 요구분석 (A Need Analysis on Empathic Learning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3.12
16P 미리보기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공감학습 요구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23호 / 687 ~ 702페이지
    · 저자명 : 소애진, 이상수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기공감을 바탕으로 한 인지적, 정서적, 태도적 영역을 균형있게 발달시키는 공감학습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하며,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이 공감학습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또한 본 연구는공감학습 개념을 반영한 현장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공감학습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의 틀을 마련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방법 부산에 소재하는 4년제 한국 대학생 193명, 4년제 중국 유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공감학습 질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지적, 정서적, 태도적 영역으로 각 15문항, 총 4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양적 데이터는 대응 표본t검정을 통해 중요 수준과 실천 수준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Borich의 요구도와 LF 모델을 통해 각 영역간 공동으로 높은 요구도가 나타난 문항을 도출하였다.
    결과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65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인지적 영역(7문항), 정서적 영역(1문항), 태도적 영역(7문항)에서 높은 요구도가 나타났다. 문항을 살펴보면 학습 내용 이해, 학습 목표/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 학습 과정 반복 점검 등 인지적 영역, 공부할 때 좋은 기분으로 전환하는 방법 등 정서적 영역, 스스로 학습 동기 부여, 학습 자체에 의미 두기, 자신 학습 능력에 대한 믿음등 태도적 영역과 관련된 내용이다. 중국 유학생한테서는 인지적 영역의 5문항에 대해서만 높은 요구도가 나타났다. 즉 학습 목적과관심이 있는 학습 영역, 이해 가능 부분과 잘하는 부분을 파악하는 것과 관련된다.
    결론 첫째, 한국 대학생들은 인지적, 태도적 영역에 대한 실제 실행 정도는 다소 부족하지만 그것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에대해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정서적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선 제대로 인식하지 못 하고있다. 둘째, 중국 유학생들은 학습 목적과학습 내용 이해 등 인지적 영역에 대해서만 요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정서와 태도에 대한 중요 정도를 인식하지못하고 있다는것이다. 셋째, 양 국 학생 모두 정서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따라서 대상의 요구도에 따라 인지적, 태도적 영역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생들이 학습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정서지능 함양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cept of empathic learning that develops the cognitive, emotional, and attitudinal areas in a balanced manner based on the learner's self-empathy,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bout empathic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future empathic learning programs by identifying field needs that reflect the concept of empathic learning.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Empathic Learning questionnaire among 193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10 Chinese exchange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5 items, divid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attitudinal domains, with 15 questions in each category. Quantitativ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levels and implementation levels. Additionally, using Borich's demand level and LF model, items with consistently high demand across all domain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entir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965. Korean college students showed a high demand for the cognitive domain (7 items), emotional domain (1 item), and attitudinal domain (7 items).
    Upon reviewing the items, it was evident that the cognitive domain included content related to understanding learning material, setting and implementing learning goals and plans, and reviewing the learning process. The emotional domain included strategies for transitioning into a positive mood while studying. The attitudinal domain encompassed self-motivation for learning, attaching meaning to the learning process, and having confidence in one's learning abiliti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hibited a high demand for only 5 items within the cognitive domain. Specifically, these items were related to understanding learning objectives and areas of interest, as well as assessing comprehensible and proficient sections.
    Conclusions Firstly, Korean college students appea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attitudinal domains in learning, even though their actual execution in these areas may be somewhat lacking. However, they seem to have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emotional domain. Secondl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hibited a high demand for the cognitive domain, particularly in areas related to learning objectives and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 However, it's notable that they do not seem to fully grasp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attitudinal factors. Thirdly, both groups of students displayed low awareness regarding the emotional dom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consider the specific demands of the target audience, focusing on cognitive and attitudinal domains. Additionally, it is essential to incorporate programs aimed at nurturing emotional intelligence to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joy of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