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王世貞 코드로 읽는 生誌銘과 意園-18세기 安山圈 文人들의 불우와 위안의 예술적 형상화- (Saengjimyung(生誌銘) and Uiwon(意園) through Wang Shizhen(王世貞) Cod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3.12
40P 미리보기
王世貞 코드로 읽는 生誌銘과 意園-18세기 安山圈 文人들의 불우와 위안의 예술적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52호 / 125 ~ 164페이지
    · 저자명 : 김동준

    초록

    이 논문은 王世貞을 코드로 삼아 18세기 安山圈의 문인들이 집단적으로 참여했던 生誌銘과 意園을 재탐색한 것이다. 李用休, 姜世晃, 柳慶種, 許佖, 趙重普, 柳慶容 등이 남긴 生誌銘과 意園圖 및 意園記를 대상으로 삼아, 不遇의 상흔이 예술적 형상으로 승화되는 실례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본론에 앞서 18세기 안산권 문인들이 왕세정과 접속 될 수 있는 근거들을 제시하는 한편으로, 이들이 안산 지역을 연고로 삼게 된 배경을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정치적 좌절과 상처, 동병상련의 연대감이 이들이 공유하는 외적, 내적 조건이었음이 그 요지이다.
    본론에서는 먼저, 생지명을 중심 대상으로 삼아 서로의 삶을 위로하고 증언하는 양식으로 생지명이 두루 활용되었음을 고찰하였다. 이들의 생지명은 서로의 불우한 인생을 이해하고 알아주며 불우함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절실한 상호 연대의 양식으로 평가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意園圖와 意園誌를 중심으로 삼아 현실의 상흔을 위로하는 또 하나의 양식이 意園으로 나타났음을 살폈다. 작품의 행간에 상처에 대한 위로와 위안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의원 관련 작품들이 生誌銘과 긴밀한 호응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8세기 안산의 문인들이 생지명과 의원을 통하여 서로의 삶을 증언하고 위로했던 현상은 不遇의 상흔을 예술적 형상으로 승화시킨 소중한 전례였다고 판단하였다. 공감과 감동이 관통하고 있는 그들의 활동과 작품은 그 시대의 예술사에서 빛나는 성과였다고 평가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d Saengjimyung(An epitaph written for a living person) and Uiwon(Garden in the heart) where Ansangwon (Ansan Area) literary men participated collectively in 18th century based on the code of Wang Shizhen. Targeting Saengjimyung and Uiwondo(Painting of Garden in the heart) and Uiwongi(Writing about Garden in the heart) by Lee Yong-hyu, Gang Se-hwang, Yu Gyeong-jong, Heo Pil, Jo Jung-bo, Yu Gyeong-yong et al.,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example of sublimating the scar of adversities to artistic shapes.
    Prior to the body, while providing grounds that Ansangwon literary men in the 18th century could connect with Wang Shizhen, we identified their political frustration and hurt, sympathized feeling of solidarity. And then, in the body, we first examined that Saengjimyung has been widely used as the form of comforting and testifying each other's lives focusing on Saengjimyung. Next, focusing on Uiwondo and Uiwongi, we found out that another form of comforting the scar of reality was shown as Uiwon. It was found that Uiwon related works are in a close response relationship in that the comfort and consolation for hurt are contained the lines of works.
    In conclusion, the phenomenon that literary men in Ansan in the 18th century testified and comforted each other's lives through Saengjimyung and Uiwon was considered to be a precious precedent of sublimating the scar of adversities to artistic shapes. Their activities and works through which empathy and emotion are passing can be evaluated to be brilliant results in art history of th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