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생전(周生傳)>의 사랑, 그 상대적 인식의 서사 (The love which becomes narration in and Narration of the relative recogni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8.12
30P 미리보기
&lt;주생전(周生傳)&gt;의 사랑, 그 상대적 인식의 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28호 / 325 ~ 354페이지
    · 저자명 : 김현양

    초록

    <주생전(周生傳)>은 ‘상대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서술된 소설 텍스트이다. <주생전>은 ‘주생(周生)과 배도(俳桃)의 사랑’[조건적 사랑]과 ‘주생과 선화(仙花)의 사랑’[진정한 사랑]을 복합적으로 서술하면서, 이 두 사랑을 위계화하지 않고 있다. 조건적인 사랑도 사랑이며 진정한 사랑도 사랑이라는 것이 <주생전>의 상대적인 서술시각이다.
    ‘주생과 선화의 사랑’은 진정한 사랑이지만 불온한 사랑이다. 이 불온한 사랑은 배도에 의해 대상화되면서 ‘주생과 배도의 사랑’과 대립한다. 이 서사적 대립은 중세적 질서[이념, 제도]와 탈중세적 지향[불온한 욕망] 사이의 대립이기도 한데, 이 과정에서 중세적 질서의 우위를 선언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현실의 지배이념을 상대화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곽소옥전(藿小玉傳)>이나 화본(話本) 작품인 <연옥관음(碾玉觀音)>의 서술시각과 다른 면이다. <곽소옥전>에서는 ‘배신’을 비판하며, <연옥관음>에서는 ‘불온한 욕망’을 경계하고 있는데, 이는 현실의 지배이념을 절대화하는 시각이다.
    <주생전>의 ‘상대적 인식’―그 서술시각은 ‘소설’ 성립의 바탕이 된다. 자아와 세계가 상호 우위에 입각해 대결하는 소설의 서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주체[세계]를 주체로 용납해야 하는데, 이는 ‘상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Jusaengjun(周生傳)> is a novel text which is described a relative recognition. <Jusaengjun> describes ‘Love of Jusaeng and Sunhwa[True love]’ and ‘Love of Jusaeng and Baedo[Conditional love]’ complex, these two loves does not rank. Also the love which is conditional is love and is a description sight whose <Jusaengjun> is relative also for the true love to be love.
    ‘The love of Jusaeng and Sunhwa’ is a true love is the love which destroys an order. This love which destroys an order is opposed in compliance with Baedo when becomes the object, from ‘Love of Jusaeng and Baedo’. Like this narrative opposition is an opposition between of medieval order[ideology and system] and post-medieval intention[desire which destroys an order]. From process of narrative opposition, The high position a medieval order does not become declaration and is not exacted. We makes recognize relatively the dominative ideology of actuality.
    This is a view of narration of <Gwaksookjeon(藿小玉傳)> or the <Yeonokgwaneum (碾玉觀音)> is visual other aspect. <Gwaksookjeon> criticizes ‘betrayal’, and <Yeonokgwaneum> is watching the desire which destroys an order. This is viewpoint that absolutely recognize an actual dominant ideology. The relative recognition of <Jusaengjun> is the base that a novel genre comes into being works. The narrative showdown that the self and the world face tightly each other shall permit another subject to the subject so that it is possible. The reason is as this is possible if text base on relative recogn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