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색을 연상하는 경험적 요인에 따른 감성 평가법에 관한 연구(1) –도시와 자연의 연상색채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ansei Evaluation of Experiential Factors Causin Color Associations (1)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Associated Colors in Urban and Rural Environments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6.08
12P 미리보기
색을 연상하는 경험적 요인에 따른 감성 평가법에 관한 연구(1) –도시와 자연의 연상색채 차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7권 / 4호 / 29 ~ 40페이지
    · 저자명 : 김선화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같은 의미의 ‘단어 또는 이미지’가 자극으로 주어진 후, 연상되는 색상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피험자가 자라난 주변 환경의 요소가 연상되는 색상에 영향을 주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자극이 (1) ‘단어’ 즉 ‘제시어’로 주어졌을 때와 ‘이미지’ 주어진 후,연상 색상이 무엇인지와 ‘단어’와 ‘이미지’와의 차이. (2)‘환경적 경험’의 비교를 위해 피험자가 자란 환경을 ‘시골’과 ‘도시’로 구분하고 자극 후의 연상색상과 ‘시골’과 ‘도시’와의 차이. (3)‘학습적 경험’의 비교를 위해 자극 후 ‘전공그룹별’에 따른 연상 색상과 그룹별 차이. 또한 자극이 주어지는 짧은 시간도 학습적 역할을 하는가 알아보기 위해 자극 전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가장 인상 깊었던 이미지를 선택한 후 사용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색사용의 차이의 비교 기준은 색상의 수(數)의 변화, 채색된 면적의 변화, 자극 전후 선택한 색 종류의 변화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무채색 자극 결과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제시어’ 자극은 ‘자연’과 ‘도시’이며, 무채색 이미지자극으로서 ‘자연이미지’와 ‘도시이미지’를 제시하여 자극 전 후의 색사용과 연상 색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색 수의 결과, ‘자연이미지’는 사용한 색의 수가 자극 후 증가하였고, ‘도시이미지’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채색의 면적(색량)과 선택한 색에서는 ‘자연’의 제시어가 주어졌을 때 보다 무채색이미지의 자극 후가 보다 다양한 색을 사용하는 경향이 보였다. 반면, ‘도시’의 제시어가 주어졌을 때 보다 무채색이미지 자극 후가 특정색(검정, 회색, 노랑색)을 중심으로 색 사용이 증가하였다. ‘자연’ 또는 ‘도시’와 함께 연상 색상으로서 녹색(자연:75%)과 회색(도시:75%)을 떠올리는 피험자들이 비교적 많았다. ‘무채색이미지’ 자극 후 채색에 가장 영향을 받은 이미지를 선택받은 결과에서는, ‘자연전경(13번)’과 ‘야경(6번)과 빌딩숲(10번)’ 이미지가 선택되었다. 또한 ‘자연’ 제시어에서 연상되어 사용한 색상(녹색계열, 청색계열, 황색계열), ‘도시’ 제시어에서 연상되어 사용한 색상 (청색계열과 무채색)과 함께 무채색이미지 자극 후에는 무채색계열을 중심으로 색사용이 증가하였다. 특히, 도시이미지에서 두드러졌다. 이는 자극이 제시된 짧은 시간(학습적 경험)으로도 색사용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여 진다.

    영어초록

    The curr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color associations when the words or image with the same semantic contents are given as stimulants. Another focus of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ubjects of the study grew up affect the colors associated. The current study looks at three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color association in subjects: (1) the form of stimulation, as words and images, (2) experiential experience of the subjects, in urban and rural environments, and (3) learning experience of the subjects, which includes major of study, as well as the short period of stimulation itself given during the study. In experimenting for the last factor, the subjects are asked to select the color that left the most impression,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ir use of color. The criteria of color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colors used, the area in which the colors were applied, and the kinds of colors used before and after the stimulation. The current study used the conclusion focused on the results of achromatic color stimulation. Stimulant words had themes of rural and urban environments, and achromatic image stimulants had urban and rural visuals to understand the change in the subjects use of color and color association. After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subjects exposed to rural images used more colors after the stimulation, while those exposed to urban images used less colors. Rural stimulant words were observed to cause the subjects to use a higher variety of colors than achromatic rural stimulant images. In contrast, achromatic urban stimulant images caused higher uses of certain colors (black, gray, and yellow). The subjects tended to associate green with rural environment (75%) and gray with urban environment (75%). Achromatic images of "natural scenery" (No.13), "night view" (No.6), and "concrete jungle"' (No.10) had the highest selection in terms of influence in coloring. In addition, the use of achromatic colors, along with colors associated with rural stimulant words (green, blue, yellow) and urban stimulant words (blue and achromatic colors) increased after achromatic image stimulation, especially with urban images. In this we can conclude that the short amount of time (learning experience) in which the stimulation was provided influence the color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