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주거공간의 오방색 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the Five Cardinal Colors in Contemporary Housing)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8.12
10P 미리보기
현대주거공간의 오방색 선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6호 / 93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성, 조인숙, 신화경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색은 시대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에서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해 중요한 수단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색은 한 지역에서 역사성을 갖고 발전해온 것이며, 전통의 색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최근 전통문화를 통한 우리의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전통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선호하는 전통색에 대한 연구함으로써 우리의 주거공간 정체성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생활문화의 토대인 현대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색의 선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거공간디자인 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조사대상은 20대부터 50대까지 전통색을 주거공간에 디자인하고자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할당표집하였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도구를 웹설문도구로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7월 24일부터 일주일동안 진행되었다. 둘째,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소득 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 계열과 현관, 거실, 침실, 주방, 욕실 등 5개의 공간으로 한정하여 각 공간별 선호하는 오방색에 대해 조사하였다. 셋째, 분석방법은 평균, 빈도,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은 청색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관의 선호하는 오방색은 백색이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실도 백색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계열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도 백색을 가장 선호하였고, 연령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실은 백색과 청색의 선호가 높았으며, 연령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실도 백색의 선호가 높았으며, 성별과 연령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주거공간에 선호하는 오방색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중 연령은 조사대상 모든 공간에서 선호하는 오방색의 계열이 다르게 나타났다. 색은 그 시대를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로 연령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은 청색으로 나타났으나 현관, 거실, 주방, 침실, 욕실 등 조사대상 모든 공간에서 대체로 백색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침실은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색이 침실공간의 선호하는 색과 유사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침실은 다른 공간과 다르게 개인적 공간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색을 통해 자신만의 정체성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각 공간별 전체적인 색의 이미지를 통해 조사하여 주거공간의 색채 디자인 적용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방색은 청, 적, 황, 백, 흑의 5가지 계열색으로 구분하고 있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와는 다른 색의 구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공간별 선호하는 오방색 계열을 토대로 실내배색계획방안 모색과 더불어 오방색의 5색을 기준으로 한 색체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olors are an important means of creating design identities. Recent design trends have attempted to construct an identity through traditional culture. As such, interests have been raised in traditional colors that have evolved with regional historical backgrounds. Traditional colors used in modern living spaces construct residential ident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red traditional colors in modern living spaces and to present data on how such colors sh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Method) Adults in their 20s and 50s tend to use traditional colors in their living spaces. Data were collected with quotas considering gender and age. A web survey was implemented for one week starting on July 24, 2018. The survey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participants, such as their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income level. We examined their preferred color scheme and preferred colors in five spaces of a home: the entrance, living room, bedroom, kitchen, and bathroom. The data were analyzed by taking the mean and frequency and conducting a cross analysis. (Results) Of the five color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from, blue was generally the most preferred. The preferred color of the entrance was white, with differences in sex and age. The respondents preferred white in the living room, and there were generally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the five colors and groups. White was preferred in the kitche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age and generally preferred colors. White and blue were preferred for bedroom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 and generally preferred colors. Bathrooms were also highly preferred in white, with group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Conclusions) The preference for living space colors vari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age of the double was different in preference for all spaces. Colors are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time and are influential in age. The generally preferred color was blue, but the preferred spatial color was white in all spaces studied. Bedrooms have been shown to be similar to the general preferred color and preference color for space. A bedroom is a representation of one's own identity and is therefore designed with one’s preferred colors. This research is limited in the application of color design to residential spaces by examining the overall color image of each spac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indoor color schemes based on the preferred variety of colors by space, and to study color systems based on five col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