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道敎의 殿·色·所 (Taoist temples in the Koryo Dynasty Perio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고려 道敎의 殿·色·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08호 / 71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철웅

    초록

    道觀은 唐 이후에 ‘宮’·‘觀’으로 불렀고 그 중 규모가 큰 것을 宮이라 하였다. 고려에서는 道宇, 道觀, 道殿 등으로 불렸는데, 道觀 이외에 堂, 色, 都監 등의 명칭이 붙은 다양한 도교 관련 기구가 있었다. 구요당, 복원궁, 정사색 등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나머지 도교 관련 기구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검토를 진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고려의 도교 관련 기구 중에서 ‘殿’, ‘色’, ‘所’의 명칭이 붙어 있는 神格殿, 昭格殿, 淨事色, 燒錢色, 淸溪拜星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신격전은 그 설립 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종 42년(1255)에 처음으로 기록이 보이므로 그 이전에 건립되었을 것이다. 무신집권기에 작성된 이규보의 초례문, 원 간섭기에 작성된 정포의 초례문을 통해 고려후기까지 도관으로 존속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조선 태조 1년(1392) 11월에 고려의 道觀을 정리할 때에 신격전을 폐지하였으니 신격전의 존폐는 고려의 멸망과 함께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소격전은 고려시대 자료에 전혀 등장하지 않고 있으나 조선 개국 초에 고려의 도관을 정리하면서 개경의 소격전을 남겨두어 조선 도교의 중심으로 삼았다. 그리고 한양 천도 이후에는 한양에 소격전을 설치했다. 그런데 개성으로 다시 천도한 후인 태종 2년에 정사색 터에 소격전을 다시 짓게 하였는데, 이것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와 있는 소격전이다. 소격전의 규모는 『세종실록』 直宿殿, 十一曜殿이, 『용재총화』에서 太一殿, 三淸殿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도교 전각이 늘어나자 세조는 소격전을 소격서로 개칭하고 소격서로 하여금 이들 道殿을 통괄하도록 하였을 것이다.
    정사색은 강화 천도 시기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고종 45년에 그 기능이 강화되었고, 충선왕 때 잠시 재초도감이라 하였다가 얼마 후에 다시 정사색으로 환원되어 고려말까지 존속하였다. 그러나 조선 태조 원년에 고려의 도교 기구를 정비할 때 폐지되었다. 태종 2년(1402)에 소격전을 정사색의 옛터에 지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開城府의 龜山寺는 송악산 소격전 동쪽 옆에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정사색은 궁궐 북쪽의 송악산 남쪽 자락에 있었고, 인근에 귀산사와 왕륜사가 있었다. 소전색은 그 연원이 충렬왕 4년(1278)까지 올라간다. 소전색에 대한 충렬왕 4년의 기록, 그리고 ‘소전’ 명문의 청자 제기 등을 통해 볼 때 소전색은 원 간섭기 이후부터 조선 태조 1년까지 존속한 도교 기구이자 도관이었다. 청계배성소는 충숙왕 복위 8년(1339)에 있었던 것이 확인되며, 조선 태조 1년에 폐지되었다. 그리고 淸溪壇이 정식 명칭인 듯하고 祭星壇으로도 불렸다. 청계배성소, 청계단이라 부른 것은 송악산 자락의 淸溪寺 부근에 있었기 때문이다.
    神格殿, 昭格殿, 淨事色, 燒錢色, 淸溪拜星所 등의 도교 건물 및 제단은 모두 고려 후기에 건립되었다. 이처럼 복원궁 건립 이후에 도교 기구와 건물이 늘어난 것은 고려시대에 도교가 융성하였고, 초례가 매우 성행했음을 말해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Taoist temples on the Taoism development during the Koryo Dynasty. There were many Taoist temples in the Koryo Dynasty Periods. For example, there were Guyodang, Bokwongung,Sinkyeokjeon, Sokyeokjeon, Jeongsasaek, Taecheongkwan and so on. This paper deals with Sinkyeokjeon, Sokyeokjeon, Jeongsasaek, Sojeonsaek,cheongkaebaeseongso.
    King Yejong and his advisor group devised the new policy to renovate the education and culture, and to stabilize the people’s livelihood in order to save the difficult situation. They attached importance to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Sung China and the cultural import. They adopted Taoism as a part of that policy. They expected Taoist to pray gods for the salvation of the kingdom. Moreover, a idea of Taoist ritual Cho was that a king’s ruling was ordained by Heaven. That idea had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status of king. Therefore they was built the Taoist temples since the medium term of the Koryo Dynasty.
    There used to be Sinkyeokjeon, Sokyeokjeon, Jeongsasaek,cheongkaebaeseongso and so on in the capital of Koryeo. The places for Taoism rituals could be classified into palaces and Taoist temples. and more events were often held in palaces. Taoism rituals were held mainly to hope that climates would be moderately harmonized and that strange phenomena disappear. Samkye rituals and Taeil rituals were often held. But In the early Joseon Bokwongung, Shinkyeokjeon, Jeongsasaek, Guyoudang,Sojeonsaek, Taecheongkwan were removed. Only Sokyeokjeon remained the Taoist temple of the Koryo Dynasty. it was the form of combining several Taoist te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