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 마을 노인회 여성들의 새마을운동 기억: 생애이야기 연구에서의 대화적 구축주의 접근방법을 통해서 (A Recollection of the Saemaul Undong by Women of One Village’s Senior Citizen Association: Through Method of Approach of Conversational Constructivism of Life Story Study)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8.08
55P 미리보기
한 마을 노인회 여성들의 새마을운동 기억: 생애이야기 연구에서의 대화적 구축주의 접근방법을 통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26권 / 2호 / 105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이 연구는 한 마을 노인회 안에서 새마을운동의 집합적인 기억이 어떻게 성립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연구이다. 1970년대 마을 부녀회 활동을 통해 새마을운동을 함께 경험한 노인회 여성들의 이야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생애이야기 연구에서의 대화적 구축주의 접근방법을 자료의 성격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그간 아카데미즘과 커뮤니티, 조직집단에서 탁월한 위치를 차지해 온 전형적 이야기인 ‘모델 이야기’의 영향 때문에 일반회원으로 활동한 여성의 경험을 제대로 듣기가 어려움을 밝혔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이 연구는 노인회 여성 개개인을 대상으로 ‘당신에게 있어서 새마을운동은 어떠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중첩시킴으로써 노인회 여성들이 새마을운동을 어떻게 회고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노인회 여성들이 말하는 새마을운동의 경험은 한편으로는 노인회 안에서 ‘공통’의 이야기, 공통의 의미 부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통’의 것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개개인에 의해서 다른 이야기, 다른 의미 부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고유’의 것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각 개인의 ‘고유’한 경험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노인회의 경험 이야기 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즉 완전히 개인적인 기억이 아닌 마을 공동체생활 속에서 중층적인 기억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험 이야기는 ‘사회적 맥락’을 넘어, 말하자면 가족을 둘러 싼 ‘마을공동체나 친족공동체적 맥락’에서 새마을운동의 경험을 해석하는 것이며 새마을운동을 경험하지 않은 세대의 사람들이 해석하는 새마을운동과 대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화자와 청자의 언어적 상호행위를 통해 이야기가 생성되는 현상에 주목하는 접근방식이 한 집단 기억의 사회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함을 보여준 점이다. 이를 통해 질적 연구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의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도 그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ans of materialization of a communal recollection of the Saemaul Undong in a senior citizen association of one village. In order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ies of women in the senior citizen association who experienced the Saemaul Undong through activities in the women’s neighborhood committee in the 1970’s, the conversational constructivism of the study of life stories was changed to fit the character of the data. Specifically, due to the influence of a typical “model story” that occupied a superior position in academism, community and organized groups in the meanwhile, it proved difficult to properly hear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were active as ordinary members. In the process of seeking a method to overcome this, this study progressed with the interview with the question “What was the Saemaul Undong to you?” for each individual woman of the senior citizen association, and through the overlap of collected data, it was examined how the women of the senior citizen association look back on the Saemaul Undong.
    As a result, the experiences of the Saemaul Undong that the women of the senior citizen association recalled was a story of “commonness” within the senior citizen association, a matter of “commonness” in which the meaning of commonness was acquired, while on one hand it was a different story based on each person and a matter of “inherence” in which another meaning was acquired. Only, each individual’s “inherence” experience did not exist independently but settled into the stories of experiences of the senior citizen association. Name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experiences were in a village’s community life and not a completely personal memory that had an intermediate form of recollection. Moreover, these stories of experiences surpassed “social contexts” and interpreted the experiences of the Saemaul Undong from “the context of a village community or relative community” surrounding a family, and it is hinted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 replacement with an interpretation of a Saemaul Undong by people of a generation that did not experience the Saemaul Undo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value of an approach method that observes the circumstances of the creation of a story through a linguistic mutual act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examining the social side of one group’s recollection. Through this,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e presentation of the possibility of an epistemic transition regarding a qualitative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