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역사책을 쓴 어느 농민의 생애와 생각 - 『풍덕마을의 새마을운동』을 쓴 이세영 옹의 구술 생애사 - (The Life and Thought of a Farmer Who Wrote the History of His Village: The Oral Life History of Seyeong Lee who wrote “Saemaŭl Movement of P'ungdŏk Villag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5.08
36P 미리보기
마을역사책을 쓴 어느 농민의 생애와 생각 - 『풍덕마을의 새마을운동』을 쓴 이세영 옹의 구술 생애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44권 / 341 ~ 376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본 논문은 한 농민이 쓴 마을역사책과 그의 구술생애사를 통해서 한국 근현대사에서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는 농민들의 생활공간 변화를 조명하려는 것이다. 이는 1970년대 한국 농촌사회를 급변시킨 박정희 정부의 새마을운동 동력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해석이자, 소외된 농민 사회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작업이기도 하다.
    충청북도 충주시 풍덕마을에 거주하는 한 농민(현 86세)은 자신의 마을에 관한 여러 권의 역사책들을 발간하였다. 그는 일제시기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노동자로 잠깐 취직한 이후 줄곧 자신의 고향마을에서 농사를 지었다. 이런 그의 경력으로 볼 때 그는 결코 지식인이 아니다. 그가 쓴 마을 역사책들은 국가 혹은 정부 정책의 대상이 된 농민들의 경험세계와 역사 인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책들에서 풍덕마을의 역사는 크게 5개 단계로 설명된다. 그의 마을사 시대구분에는 민족사(국가사)와 마을사의 틀이 중첩되어 있다. 국가사의 틀을 수용하면서도 거기서 다루어지지 않은 자랑스러운 마을의 역사가 당당하게 표출되고 있다. 그러한 독자적인 역사관이 가장 강렬하게 드러난 것은 새마을운동 이전인 1946년부터 1970년까지의 시기이다.
    약 100년에 이르는 이 마을의 근현대사에서 마을공동체를 변화시킨 가장 중요한 사건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한일합방’이 추진되던 시기로, 1906년 방풍림계의 결성이다. 마을의 주민들이 곡식을 내어서 마을의 공유재산을 마련한 것이다. 두 번째는 식민지에서 해방된 직후 시기로 1946년 계몽회의 결성을 들 수 있다. 당시 마을의 10대 청년들이 결속하여 야학을 통한 문맹퇴치 활동을 벌이면서 마을의 새로운 구심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1950년대와 60년대에는 라디오, 앰프시설, 구판장 등 마을에 다양한 근대적 문물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마을의 변화를 이끌어낸 것은 이세영이라는 인물의 일제시기 외지 경험이다. 그는 마을에 정착하기 이전에 도시 생활을 체험하였으며 일제말기 소년단 활동에 참가하였다. 이러한 그의 경험들은 그가 가지고 온 근대적 매체들과 함께 마을 근대화를 추진하는 동력으로 작동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seeks to shed light on South Korea’s rural modernization drive from the vantage point of farmers, whose own accounts, neglected for so long, show that they had been taking various reformist initiatives for the betterment of their communities well before the touted Saemaŭl(“New Village”) Movement of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 In reconstructing such a bottom-up narrative, I focus on a series of local histories written by an 86-year-old farmer from P'ungdŏk Village of North Ch'ungch'ŏng Province. I also note his oral life history. Not exactly an educated man, the author attended elementary school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spent most of his life farming in his home village. His records offer a valuable glimpse into the experience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farmers, who were no mere receptacle of government policies.
    While acknowledging major trends in official direction at the national level, this farmer-author proudly documents his village's reformist path in its own right. Nowhere is the sense of pride and self-motivation stronger than in his description of the 1946-70 years, which clearly predated the government -directed Saemaŭl Movement. In chronicling his village’s modern century, the author highlights two important junctures. First and foremost was the formation in 1906 of self-help societies where the members, amid the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order, strove to strengthen communal ties in coping with the uncertainties attendant to the tumultuous changes under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The other was the formation in 1946 of Kyemonghoe("Enlightenment Society"), whose young leaders campaigned to drive out illiteracy and subsequently expanded their activities by bringing in such modern institutions as the radio, PA systems, and co-ops.
    It was his experience of city living that made such changes in the village. Before he settled down in his hometown, he lived in downtowns and participated in boy scout activities. With the modern media he brought from the city, his experience of city living was the engine of modernization of the vill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