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체결과 식민지 문제 인식 - 식민주의와 반공주의의 결합과 경쟁 관계의 지점 -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Colonial Issues: The Integration and Competition of Colonialism and Anti-Commun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2.04
29P 미리보기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체결과 식민지 문제 인식 - 식민주의와 반공주의의 결합과 경쟁 관계의 지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법연구 / 16권 / 1호 / 539 ~ 567페이지
    · 저자명 : 이석우

    초록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체결 당시 식민주의가 문제라는 인식을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 국내사료와 식민제국 영국의 기자가 직접 취재한 자료를 검토할 때 한국인들은 식민제국에 대한저항 의식이 병합 초기부터 존재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승전국으로서 평화조약 체결을주도했던 미국과 영국, 그리고 패전국 일본은 최소한 식민제국으로서 식민지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약 체결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미국의 대표인 John Foster Dulles가 반공주의자이면서 한국보다 일본에 더 가까웠던 점, 한국의 독립 문제를 일본의 주권으로부터 한국이 분리된다고 보는 미 국무부의 문서 및 미국 학자의 인식, 그리고 한반도 내외에서 전개된독립운동 세력과의 교전을 반란 수준으로 바라보는 일본의 인식은 둘 다 제국의 논리를 대변하는 것과 같고 이 인식은 한국의 평화회의 참가와 서명국 지위가 배제된 결정의 배경이 되었다고볼 수 있다.
    강화조약이 전쟁상태를 종식하고 평화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합의에 의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전승국과 패전국의 힘의 관계가 적용되기 때문에 정치적 성격이 결부되는 것은불가결해 보인다. 이렇게 볼 때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전승국인 미국과 영국의 적극적인의사가 반영된 것이므로 1차 세계대전의 강화조약과 달리 패전국 일본에 매우 유리하게 진행된것 자체로 크게 비난을 받을 것은 아니다. 다만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식민제국주의 잔재를 포함하고 있고 냉전의 산물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제사회의 흐름은 식민지배 과정의 불법뿐만 아니라 식민지배 그 자체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는 방향으로 천천히 변화되고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샌프란시스코 체제라는 오래된 다자체제 안에서 식민지 문제 청산을논의하는 것이 우호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을지 의문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즉,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이 유일한 전후 한일관계의 국제법적 전제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다른 출구전략이필요하다.

    영어초록

    It is difficult to find any negative acknowledgment of colonialism at the time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as signed. Examining domestic historical records and data, and the reports by a reporter from the colonial empire of the United Kingdom evidences signs of resistance to the colonial empire by the Korean people from the beginning of the annexation. However, despite the resistance, it seems that the victorious n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ho led the signing of the peace treaty, and the defeated country, Japan, had shared at least one common perception about colonialism as colonial empires. The fact that John Foster Dulles, the representative of the United States, who had the most active role in concluding the treaty, was an anti-communist with closer ties with Japan than Korea; the documents from the U.S.
    State Department and the general perception of American scholars that treated the independence of Korea as nothing more than a separation from Japanese sovereignty; and Japan’s percep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mere rebellion, goes to show both the U.S. and Japan had represented the rationale for colonialism and thus also served as crucial underlying reasons for Korea’s exclusion in the peace conference and its status as a signatory.
    Although the peace treaty is based on an agreement aimed to end the state of war and restore peaceful relations, the influence of the victorious Allied Powers and a defeated n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a treaty makes its political nature an indispensable factor. In light of this, considering that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greatly reflects the intentions of the victorious n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unlike the Peace Treaty of World War I, it should not be criticized solely for the reasons of favorable treatment to Japan, a defeated country. However, the fact worth noting is that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contains remnants of colonialism and is a product of the Cold War. The trend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gradually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acknowledging responsibility for not only the illegality of colonial rule but also colonization itself. Considering this international shift, it is necessary to question whether discussing the settlement of colonial issues based on the old, multilateral system of the San Francisco system alone would bear favorable results.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nother perspective to examine the proposition that San Francisco Peace Treaty be regarded as the only international legal premise for postwar Korea-Japan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