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적장애 아동의 새 단어 의미 연결에서 상호배타성 가정과 화용 단서 활용 특성 (Application of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Pragmatic Cues to Novel-Word Learning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3.05
16P 미리보기
지적장애 아동의 새 단어 의미 연결에서 상호배타성 가정과 화용 단서 활용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논총 / 39권 / 2호 / 115 ~ 130페이지
    · 저자명 : 오혜경, 황민아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새 단어 의미 연결 과정에서 상호배타성 가정을 활용하고 억제하는 양상 및 화자가 주는 화용적 단서를 활용하는 양상에서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언어연령이 만 3-4세에 해당되는 지적장애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5명으로 총 25명이었다. 실험 1은 아동의 상호배타성 가정 활용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친숙한 사물과 낯선 사물 사진을 동시에 제시한 후 새 단어를 들려주었을 때 아동이 낯선 사물을 선택 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2에서는 지시문에 화자의 의도가 드러난 화용 단서가 함께 제시되었을 때 아동이 상호배타성 가정에서 벗어나 새 단어를 친숙한 사물의 두 번째 이름으로 허용하여 친숙한 사물을 선택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1에서 두 집단 아동들은 모두 상호배타성 가정을 활용하여 새 단어의 의미를 낯선 사물로 연결하는 경향을 보였고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 일반 아동들만 화자의 의도가 담긴 화용단서에 따라 상호배타성 가정을 무시하고 새 단어를 친숙한 사물의 두 번째 이름으로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친숙한 사물을 새 단어의 이름으로 연결하는 반응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결론: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모두 새 단어 학습 과정에서 빠른 의미 연결 시 상호배타성 가정을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 아동은 화자의 의도가 내포된 화용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상호배타성 가정에서 벗어나 유연한 단어 의미 연결 능력을 보였다. 반면 지적장애 아동은 상호배타성 가정을 벗어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상호배타성 가정에 편향된 새 단어 의미 추론 특성은 일상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어휘 학습에 필요한 단서를 지적장애 아동이 놓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ffer in how they apply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use pragmatic cues from speakers during word-meaning mapp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3-4 years. In the two experiments, the children were given photos of two objects, one familiar and the other unfamiliar, and asked to choose the photo corresponding to a novel word spoken by the examiner. In Experiment 1, only novel words were presented, and the children were expected to choose unfamiliar objects based on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In Experiment 2, the novel words were given with verbal pragmatic cues to reveal the speaker’s intentions. We examined whether children could ignore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consider a novel word to be the second name of a familiar object. Results: In Experiment 1, the children in both groups utilized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connected the novel words with the unfamiliar objects. No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xperiment 2, only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ended to ignore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nd chose a novel word as the second name of a familiar object following the speaker’s pragmatic cu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Both groups utilized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for fast mapping of a novel word and its meaning. However, only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gnored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when pragmatic cues were present, while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id not ignore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This bias toward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may indicate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iss cues that indicate the meaning of a new word while learning new vocabulary in dail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