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생교육의 오래된 새 길: 전환학습적 인문학으로의 선회 (An Old New Paradigm of Continuing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3.06
23P 미리보기
평생교육의 오래된 새 길: 전환학습적 인문학으로의 선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 / 19권 / 2호 / 215 ~ 237페이지
    · 저자명 : 나윤경

    초록

    인문학이 골목 안으로 들어와 대중화의 길을 걸으며 대규모 성인들을 모으고 있지만, 그 성인들을 학습자가 아닌 청중으로 환원하면서 어떤 의미에서 학교교실에서 행했던 ‘실패한’ 인문학의 길을 또 다시 노정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자본이 인간을 다만 값싼 일회성 노동도구로 전락시키는 신자유주의적 맥락에서 인문학은 학습자의 맥락을 비판적으로 읽고 재구성하려는 시도로서의 교육학적 실천성을 결여한 탓에 성인 노동자들에게 치유나 힐링 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양상은 평생교육이 인적자원개발론과 성찰적 인문학이라는 두 모순적 진영 사이를 진자 운동하듯 오가며 성인들에게 현재적 맥락을 바꾸어 낼 수 있는 실천적 비젼을 비추는 데 소홀한 사이에 발생한 현상이기도 하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고는 평생교육의 전환학습 이론이 인문학적 성찰성과 조우하여 인적개발론이 추동한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멈추게 하고, 현재적 맥락을 전환하는 데 주력하는 전환학습적 인문학으로 선회할 것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Humanities as a discipline has been popularized to gather adult learners on a large scale recently. However, it seems to repeat its failure within the “Ivory Tower” by making adult learners just passive “listeners” as it did on campus.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where human beings are exploited as disposable instruments for the sake of maximizing capitals, humanities does not provide answers or critical perspectives with those adult learners since it lacks the practical faculty to criticiz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that all adults are situated in and suffering from. Instead, it just gives the sense of “being healed”or "being consoled". On the other hand, while continuing education has been shuttling between humaniti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are quite opposite in terms of defining the meaning of human beings as the goal and the means, respectively, it came to neglect the reflectivity that is essential for human beings to change their living conditions In this vein, the author of present study insists that adults' transformative learning combined with humanities halt the self-directed developmental culture/trend encouraged b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al orientation and turn around its head toward "transformative humanities" to help people criticize and change their oppressive contexts under the regime of neo-capit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