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강점기 진주지역 소년문예운동과 진주새힘사 연구 (A Study o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of Jinju Area and Jinju Saehimsa during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2.02
48P 미리보기
일제 강점기 진주지역 소년문예운동과 진주새힘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35호 / 237 ~ 284페이지
    · 저자명 : 박경수

    초록

    이 글은 진주지역 소년문예운동의 전개과정을 파악하고, 특히 진주지역 소년문예운동의 중심이 된 진주새힘사의 성격과 그에 소속된 문학청년들의 아동문학 작품들의 문학세계를 고찰한 것이다.
    첫째, 진주지역 소년문예운동은 소년운동의 전개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진주 출신으로 천도교소년회에서 활동한 강영호의 아동문학 활동이 일부 파악되었으며, 1927년 경에 진주지역 진주고등보통학교, 진주농업학교, 진주사범학교에 재학중인 청년학생들이 순수 문예활동을 위해 구성한 진주동무사가 있었음을 밝혔다.
    둘째, 1928년 7월 결성된 진주소년동맹이 결성된 이후 소년문예운동이 본격 전개되었다. 당시 진주소년연맹은 다시 그 산하에 진주새힘사, 진주동무회, 진주새틀단 등을 두면서 소년문예운동을 펼쳤다. 진주동무회는 진주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이 주축이 된 소년문사들의 모임으로 소년문예운동의 실천적 활동을 보여주었으며, 진주새틀단은 안송을 중심으로 소년문예운동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셋째, 진주새힘사는 진주소년연맹의 산하 조직이면서도 독자적인 소년운동과 소년문예운동을 주도했던 단체였다. 여기에 정상규, 이재표를 중심으로 손길상, 차우영수 등이 가담하여 활동했다. 이 진주새힘사는 적어도 1929년 5월 이전에 창립되어 1930년 말까지 2년 가까이 존속되었으며, 진주지역에서 사회주의 무산계급 소년문예운동을 펼치기 위해 조직된 단체였다. 특히 진주새힘사의 중심 인물인 정상규는 소년문예운동의 전국적 확산을 꾀했다.
    다섯째, 정상규, 손길상, 이재표, 차우영수는 일정 기간 동시와 동화 창작을 통해 소년문예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이들은 무산계급의 현실에 주목하면서 계급적 차별과 모순을 풍자하고 비판하는 작품들을 주로 발표했다. 사회주의 사상에 기초한 이념적 경직성을 노출한 작품들도 있었으나, 무산계급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통해 시적 감동과 리얼리티를 구현하는 작품들을 추구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development of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and inquir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Jinju Saehimsa, the center of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of Jinju area, and the works of juvenile literature written by its members.
    First,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of Jinju area developed as a part of the juvenile movement. There was some activities of Young-ho Kang, a member of the juvenile party of Cheondogyo, whose origin is Jinju. In addition there was Jinju Dongmusa consisting of the students of Jinju Secondary School, Jinju Agricultural School, Jinju Normal School for pure literary activities in around 1927.
    Second,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of Jinju area developed in earnest since July, 1928, when the Jinju juvenile federation was organized. There were Jinju Saehimsa, Jinju Dongmuhoe, Jinju Saeteuldan under the Jinju juvenile federation for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Third, Jinju Saeteuldan led the juvenile movement and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independently even though it was a suborganization of the Jinju juvenile federation. Sang-kyu Jung was the main and Jae-Pyo Lee, Gil-Sang Son and Young-su Chau engaged in the activities. Jinju Saehimsa was found at least before May, 1929 and lasted for 2 years until the end of 1930, which was an organization for spreading the socialist proletariat juvenile literary movement in Jinju area. Especially Sang-kyu Jung tried to spread the movement based on Jinju Saehimsa.
    Fourth, Jinju Dongmuhoe consisted of the juvenile literary students of Jinju Public Primary School, which acted practically i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Jinju Saeteuldan led by Song An contributed to widening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Fifth, Sang-kyu Jung, Jae-Pyo Lee, Gil-Sang Son and Young-su Chau were active i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writing children's poems and children's stori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paid attention to the reality of the proletariat and mainly released works to reveal and criticize the discrimination and contradiction among the classes. Some of the works expressed the ideological spasticity based on the socialism, many of them realized poetic impression and reality with warm-hearted attention to the proletariat.
    It will be necessary to try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Jinju Dongmusa, Jinju Dongmuhoe, Jinju Saeteuldan in detail, and to study the juvenile literary works of Sang-kyu Jung, Jae-Pyo Lee, Gil-Sang Son and Young-su Chau, the members of Jinju Saehimsa and their lives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