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보호법상 일부심사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s of a Partially-Examining System in Design Protection Act)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2.12
44P 미리보기
디자인보호법상 일부심사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세종지적재산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The Journal of Law & IP / 12권 / 2호 / 85 ~ 128페이지
    · 저자명 : 정태호

    초록

    우리나라의 디자인보호법상 일부심사제도는 디자인일부심사등록출원과 디자인심사등록출원을 동시에 운영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국제적인 입법례와 다소 다른 독특한 제도로 정비되어 있다 보니, 법률의 내용이나 제도의 운영의 측면에서 그 당위성이 부족하다거나 명확하지 않은 부분 등이 다수 보여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개선할 점들이 보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일부심사제도의 개정 연혁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후, 현재까지의 일부심사제도의 운영현황에 대해서 기존의 관련 문헌 뿐만이 아니라, 특허청의 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평가해보고, 그 외에 해당 제도의 입법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서 그 개선방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하려고 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현행 디자인보호법상 일부심사제도의 전반적인 검토를 하는데, 일부심사제도의 의의 및 취지와 일부심사제도의 개정 연혁 및 그 영향력의 추이 검토한다.
    다음으로 특허청의 통계자료를 통해서 일부심사제도에 관한 구체적인 운영 현황을 분석한 후에, 이러한 운영 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검토한다.
    그리고 입법적인 개선방향에 대한 검토를 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명칭의 혼란 및 심사처리기간에 대한 명확화의 필요성, 이의제기 등의 절차적인 중복 및 번잡에 대한 정리의 필요성, 심사를 하는 거절이유의 선정에 대한 근거 부족에 따른 정리의 필요성, 특허취소신청과 같은 절차적 시스템의 정비의 필요성, 이의신청 이유의 한정의 필요성, 일부심사대상 물품의 정비의 필요성 및 이의신청의 특허심판원에서의 처리의 필요성을 구체적인 근거를 통해 제시한다.
    종합적인 정리를 하자면, 디자인보호법상 일부심사제도는 개정 연혁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여러 차례 개정됨에 따라 명칭이나 관련 규정에 관한 근거의 불명확성과 제도의 불안정성의 문제가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운영 현황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그 개정 상황에 따라 출원 건수의 변동이 심하며, 무효심판 등 디자인보호법상 다른 제도와의 중복이나 저촉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도 보인다.
    디자인보호법상 일부심사제도의 명확하고 안정적인 제도의 운영을 위해서는 해당 제도의 개정 연혁과 운영 현황 뿐만 아니라, 특허법이나 상표법 등의 산업재산권법상의 관련 제도와의 관계라든가 그 입법 취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입법적인 검토를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이 논문에서는 전체적으로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검토한다.

    영어초록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of Korea, a partially-examining system have a unique system that simultaneously operates applications for registration of partially-examined designs and applications for design registration. However, as it is organized into a unique system that is somewhat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legislation, there are many areas that lack legitimacy or are not clear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law or the operation of the system, so there are many things to improve about it.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revision on a partially-examining system in detail, and then objectively evaluates the operation status of a partially-examining system so far based on statistical data from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s well as related references. In addition, we will review the legislative problems of the system and examine improvement directions of it in detail.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 overall review of a partially-examining system under the current Design Protection Act is conducted, and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the system, the history of revision of the system, and their influence are reviewed. Next, after analyzing the specific operation status of a partially-examining system through statistical data from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se status is reviewed. In addition, legislative improvement directions are reviewed, and specific grounds are presented for clarifying the confusion of names and examination period, procedural overlap and complications on written oppositions, etc., the lack of grounds for selection of reasons for refusal, reorganization of procedural systems such as petitions for revoking patents, limitation of reasons for written oppositions, reorganization of some items subject to a partially-examining system, and processing of written oppositions by the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 In a comprehensive summary, as can be confirmed by the history of revision of a partially-examining system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problems on uncertainty of the basis for the name or related regulations and the instability of the system with several revisions.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the operation status, the number of applications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revised situation, and various problems can arise due to overlapping or conflicting with other systems such as trials to invalidate design registration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For clear and stable operation of a partially-examining system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legislative reviews should be made synthe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of revision and operation status of the system, as well as legislative purpose of the system and the relationship with industrial property right laws such as the Patent Act and the Trademark Act. In the end, in this paper, overall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re pointed out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system is review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