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권조약상 강제실종 범죄화의 국내법적 이행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Criminaliza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under a Human Rights Trea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인권조약상 강제실종 범죄화의 국내법적 이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67권 / 4호 / 301 ~ 340페이지
    · 저자명 : 정경수

    초록

    「강제실종방지협약」은 강제실종이 자국 형법상 범죄를 구성하도록 당사국에 요구한다. 이 글은 강제실종의 정의와 국내법상 범죄화가 어떻게 정립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국가들이 강제실종의 범죄화를 어떻게 구체화하는지를 조사하고 강제실종죄의 신설을 어떻게 할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협약」 제2조의 강제실종 정의는 국가 간 법체계에 따른 인식과 태도 차이를 봉합하기 위해 일정 부분에서 ‘건설적 중의성’을 택했더라도, 그 중의성은 매우 제한적이거나 발효 후 해소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강제실종 정의의 요소로서 ‘법의 보호 제거’가 구성요건적 ‘요소’인지 ‘결과’인지에 관한 의견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요소’로 하자는 국가들은 「협약」을 비준하지 않았고, 비준한 국가들 중에서 구성요건적 요소라는 해석선언을 한 국가도 없다. 그리하여 ‘법의 보호 제거’는 구성요건적 결과임이 분명하다.
    「협약」 제4조의 ‘강제실종의 범죄화’가 강제실종을 부수 범죄로도 할 수 있다는 당사국들이 있다. 그러나 국내법상 독립 범죄화는 그 문언이 성안 첫 회의에서부터 시작하여 최종 문안으로 확정된 것이고, 「협약」에 따라 설치되어 운영되는 강제실종위원회의 공식 입장이고, 「협약」 당사국의 수용 입법 확산으로 공고화되었다. 따라서 강제실종의 범죄화는 강제실종의 단일 독립 범죄화임이 명확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적 요구와 추세에 맞춰 「협약」상 강제실종의 정의를 국내법에 수용할 때도 우리 형법의 완결성과 양립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되도록 축자역 방식으로 해야 하지만, ‘엄격한 축자역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이완된 축자역 방식’도 허용된다. 국제법적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법의 안정성과 명확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우리 법체계에 안착할 수 있는 범죄구성요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hereinafter “Convention”) requires States parties to enact domestic legislation criminalizing enforced disappearance. This paper examines how enforced disappearance is defined, what the State party’s duty to criminalize enforced disappearance contains, an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offence of enforced disappearance.
    A key challenge to common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under Article 2 of the Convention has emerged from the element of protection of the law. There were disputes over whether the removal from the protection of the law should be considered as a consequence of enforced disappearance or as part of the defini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However, none of the countries that had insisted the element as part of the definition constituting enforced disappearance ratified the Convention. In addition, none of the States parties made an equivalent interpretative declaration when ratifying the Convention.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element should be recognized as a consequence of enforced disappearance.
    It has been rarely argued that the obligation under Article 4 of the Convention can be fulfilled by criminalizing enforced disappearance as attendant offences under criminal law. However, criminaliza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as an autonomous offence under criminal law was conceptualized in the process of the elaboration of the Convention, has been confirmed by the Committee on Enforced Disappearances, and have been further solidified by domestic implementing legislations of States parties. Therefore, it becomes clear that the Convention requires enforced disappearance to be defined as an independent offence in domestic criminal law.
    Domestic legislative measures that incorporate the defini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under the Convention in Korea must be compatible with the integrity of its criminal law. In this regard, it is desirable to adopt the definition verbatim though not only a strict verbatim adoption but also a somewhat relaxed way is allowed. The implementing legislation of enforced disappearance that can settle in Korean legal system must ensure the stability and clarity of the law while accommodating the definition under the Conv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