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적도상의 경계와 경계침범죄의 성립 여부 (Die Grenze nach dem Kataster und die Problematik der Veränderung einer Grenzbezeichnu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0.05
28P 미리보기
지적도상의 경계와 경계침범죄의 성립 여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47호 / 183 ~ 210페이지
    · 저자명 : 허일태

    초록

    오늘날 우리 국민들 대부분이 도시에서 살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점차 증가추세에 있으며, 그 결과 도시의 토지가격은 농촌에 비해서 비교할 수 없을정도로 비싼 탓으로 그 토지의 경계가 대부분 명확한 것이 현실이다. 혹시 불명확할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곧바로 이를 시정하려는 노력 때문에 도시에서는 각 토지에 접경해 있는 토지 소유자나 점유자 사이의 갈등은 비교적 적다.
    그래서 그런지 대도시를 중심으로 토지의 경계를 침범하는 이른바 경계침범죄가 야기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앞으로 더욱 더 소멸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경계침범죄의 성립요건을 보면 “경계표를 손괴ㆍ이동 또는제거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토지의 경계를 인식불능하게 한 때”이므로 이러한범죄구성요건은 손괴죄의 구성요건에 의하여 대부분 포섭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침범죄를 굳이 두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특히 오늘날 위치추적 장치나 토지의 경계인식장치의 급격한 발달로 종래 울타리나 돌담 또는 표지석등에 의한 경계설치의 의미가 매우 축소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형법상 경계침범죄가 형법 제370조에 의해 규율되어 있고, 아직까지도 농촌에서 토지의 경계침범행위가 적지 않기 때문에 형사실무상으로도 가끔 사건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본 대상 사건에서는 서로 접경해 있는 토지의 양 당사자가 이들 토지에 대한 복토를 함으로써 토지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아울러 토지의 경계를 분명히 하려는 사적자치에 따른 합의에 의해 작업이다. 이런 경우에는 사적 자치에 의한 경계침범이 될 수 있는 개연성이 큰 상황이란 점을 충분히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이런 문제를 형식적인 관점에서 무조건 형사법적 문제로접근하게 되면 민사법의 형사화를 더욱 부추긴다는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해 사건에서 당사자들에 의한 합의에 의한 복토 등 계약내용과 그 이행의 사실관계를 더욱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피고인에 대한 문제가 형법상으로 개입이 불가피한 것인지, 아니면 민사법적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그쳐야 할것인지를 신주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Heutzutage wohnen die meisten Bevölkerungen in den Stadtgebieten und dieses Phänomen wird immer sichtbarer. Somit ist der Landpreis ―zu einem mit den Landgebieten unvergleichbaren Niveau― hoch gestiegen, mit der Folge, dass die Grenzbezeichnungen in Stadtgebieten in den meisten Fällen klar erkennbar gestellt werden. Auch wenn es Unklarheiten bezüglich Grenzbezeichnungen gäbe, würden sich die Betroffenen aktiv zur Vermeidung der potentiellen Streite bemühen, somit sind die Grenzenkonflikte gering.
    Aus diesen Gründen wird eine strafbare Veränderung einer Grenzbezeichnung nicht häufig begangen in den Stadtgebieten. Der Tatbestand einer strafbaren Veränderung einer Grenzbezeichnung nach dem §370 KStGB erfordert, „durch Beschädigung, Bewegung oder Beseitigung einer Grenzbezeichnung oder auf eine andere Weise eine Landgrenze unkenntlich gemacht” zu haben: Die Notwendigkeit dieses Tatbestands ist höchstfraglich, da die meisten dieser Tathandlungen unter dem Tatbestand der Sachbeschädigung subsumiert werden könnten. In der Gegenwart, besonders durch die Entwicklung der GPS-Geräte und der Technologie zur besseren Erkennung von Grenzen sind die Bezeichnungsweise wie Zäune, Steinmauern und Grenzsteine weniger sinnvoll geworden. Aber trotzdem ist der Tatbestand der Veränderung einer Grenzbezeichnung nicht nur im §370 KStGB immer noch vorhanden: Dieses Delikt wrid vielmehr in den Landgebieten hin und wieder begangen.
    In dem Ausgangsfall haben sich die beiden Parteien als Eigentümer bzw. Besitzer der benachbarten Grundstücke über “Molding” geeinigt, um dadurch die Produktivität des Landes zu erhöhen und gleichzeitig die Grenzbezeichnung sichtbarer zu machen. In solchen Fällen müßte besonders berücksichtigt werden, dass die Veränderung der Grenzbezeichnung höchstwahrscheinlich durch eine privatautonome Übereinstimmung des Parteiwillens verursacht wird. Bei einer strafrechtlichen Vorgehensweise würde die Gefahr der Verstrafrechtlichung des Zivilrechts naheliegen. In dem Ausgangsfall müßte durch eine Auseinandersetzung des Vertragsinhalts und durch die Prüfung der Erfüllung des Vertrages näher untersucht werden, ob diese Problematik rein zivilrechtlich behandelt werden sollte oder eine strafrechtliche Sanktion zwangsläufig erforderlich 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