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터넷상의 저작권침해 현상과 경찰의 처리방안 (Copyright Infringement phenomenon on the Internet and the ways of the police handl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0.03
22P 미리보기
인터넷상의 저작권침해 현상과 경찰의 처리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찰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경찰연구 / 9권 / 1호 / 163 ~ 184페이지
    · 저자명 : 이정덕

    초록

    인터넷은 항상 곁에 있는 일상생활의 일부분처럼 느껴진다. 이러한 인터넷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는 법환경도 크게 바꾸고 있다. 특히 방대한 자료를 가지고 인터넷에서 접속자들을 유지 및 관리하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들은 저작권분야에 민감하다. 인터넷에서 명예훼손, 사기 등의 범죄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저작권침해이다. 인터넷서비스제공자에게 저작권침해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더 많은 접속자를 유치하기 위해 양질의 콘텐츠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사업의 중요한 무기이자 자신들을 옥죄는 쇠사슬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사용자들이 저작권을 스스로 보호하고 정당한 저작권료를 지불하겠다는 생각이 있으면 간단히 해결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가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저작권침해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범죄를 저지르면 처벌받는 것이 당연하지만 인터넷환경에서 저작권침해는 대부분 젊은세대 특히 청소년이나 대학생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법적용의 묘미를 살려야한다. 인터넷에서 저작권을 침해하는 사용자들은 죄책감이 거의 없다. 그래서 저작권관련기관의 홍보와 계도는 실효성을 얻기 어렵다. 경찰이 저작권교육에 참여하여 범죄라는 것을 적극적으로 알린다면 청소년의 저작권침해는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저작권관련기관, 청소년단체, 온라인서비스제공자, 경찰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경찰이 적극적인 참여를 하지 않았다. 앞으로는 인터넷홍보 등에 경찰이 직접 참여할 필요성도 있다.
    일부 저작권자들의 과도한 합의금요구에 일부 경찰이 활용하고 있는 즉심제도로 대응하는 것도 현실적인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실효성이 있다. 지나친 합의금의 요구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어린세대에게 경찰이 범죄라는 사실을 알리고 처벌은 하되 일종의 보호막이 되어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다.

    영어초록

    On the internet today, copyright protection issues are increasingly taking center stage while the legal systems scramble to keep up with the ever changing face of the web. The average net users are not likely to know or understand the basic tenets of copyright law, and there seems to be a consensus amongst many that anything found on the internet falls under the ‘public domain' categor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web are newsworthy topics. Service providers and suppliers take firm stance against infringers and counterfeiters, yet they tend to be indulgent or lenient about its security countermeasures. Fear of loss — losing potential customers, losing ground to competition, losing multiple simultaneous logins - plays a greater motivating factor. Arguably, copyright Infringement is often considered a “two-sided coin". It probably is the best proven business marketing strategy, which does not necessarily equal profit.
    Typically -- and unfortunately --, the group most directly and adversely affected by piracy on the internet are the ‘tech-high' younger generation. There are no guilt, no morality in belief, no remorse, no crime in their mind when it comes to the internet.
    So, what might be a desirable course of action for deterring ‘piracysm'? As we have seen, the ‘anti-internet piracy campaign' delivered by copyright owners group had little or no effect, since the targeted groups - the ‘Pirate Party' - would simply deny illegal acts in which they are involved.
    Some anti-piracy content identification and filtering technologies may play a useful role in deterring piracy in some limited cases. Imposition of broad anti-piracy content identification and filtering technological requirements by administrative fiat might also be very soothing, but they are not a ‘silver bullet' solution to piracy. Rather, addressing piracy effectively requires ongoing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ve efforts: ‘copyright holders,' ‘youth groups,' ‘web service providers' and ‘the police.' The law enforcement agency, which were reluctant to take more effective action, must assume bigger role in public relations campaign. To effectively deter illicit ‘downloading' and more importantly, ‘uploading,' all responses must be able to find representation in the collective unit cir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경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