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艸丁 金相沃 時調에 나타난 自然觀 (A Study on the View on Nature in Ch'o-Jung's Three-Verse Poems(Sij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9.01
38P 미리보기
艸丁 金相沃 時調에 나타난 自然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30호 / 263 ~ 300페이지
    · 저자명 : 최흥렬

    초록

    이 글은 艸丁의 초기 時調集인 ꡔ草笛ꡕ에서 마지막 시조집인 ꡔ느티나무의 말ꡕ
    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發現되는 自然觀을 形式主義的 方法과 構造主義的 方
    法을 참고로 하여 自然觀을 探索하는데 目的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時調詩人의 自然을 認識하는 思惟體系로서 旣存의 成果들을 수용하면서 思想的
    背景으로 古時調에 나타나는 傳統的 自然觀의 同質性이나 類似性을 염두에 두
    면서 異質性도 살피려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 수행은 艸丁 시조의 內的 감정
    의 指向性을 自然의 형태를 빌어서 살펴봄으로서 傳統의 계승과 發展的 측면을
    확인하는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艸丁 時調에 나타나는 自然觀의 考察은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할 것이다.
    傳統的인 東洋의 自然觀과 맥을 같이하는 古時調에 나타나는 自然觀의 흐름
    과 그 전통에 주목하면서 古時調와 艸丁 시조에 나타는 自然觀을 穿鑿한 결과
    古時調에서 抽出되는 自然觀은 첫째, 心性修養의 自然觀으로 16세기의 자연관
    은 混濁한 정치현실과 대립되는 心性修養의 자연관, 둘째, 閑居․勞動의 자연관
    으로 17세기에 이르면 道學的 宇宙論的인 典範性이 衰退하고 天人合一의 自然
    觀에서 약화되고 江湖 閑居의 감흥이나 田園生活의 具體的 노동 공간으로 시적
    關心事가 나타난다. 셋째, 隱逸的 隔離 공간의 自然觀으로 19세기에 오면 중앙정
    치에서 소외된 士族들은 정권에 참여하려는 꿈을 접고 鄕村에서 旣得權 보전에
    나 힘쓰면서 勢道家門의 政局主導權을 현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넷째, 自由奔放
    의 自然觀으로 조선 후기로 넘어 오면서 都市 商業文明의 발달과 中間層의 社會
    的 浮上으로 시조의 享有層이 士大夫의 독무대에서 中間層이 새로운 시조의 享
    有層으로 부상하는데 歌客의 등장이다. 文化的으로 성장한 中間層 지식인들은
    시조를 자신의 藝術的 敎養物로서 愛好하며 創作한 그룹이다. 20세기에 이르러
    초정의 시조에서 發現되는 자연관은 첫째, 傳統的인 觀念論的 自然인식으로 꽃
    을 빌어 思親을 연역하여 내는 데 있어 人生論的 의미는 배제되고 그 대신 客觀 的 事物性으로 置換하여 間接的으로 表現하고 있다. 둘째, 抒情的 思鄕과 憧憬
    의 대상이다. 초정의 抒情의 指向性과 모더니즘적 技巧가 보여 視覺的 이미지로
    고향의 그림이 보이고 있다. 셋째, 根源的 思親의 認識을 보인다. 넷째, 有機體的
    生命性을 보인다. 다섯째, 老莊的 靜寂美를 表出하고 있다. 靜寂美의 인식 대상
    은 구름․달․눈․낙수․산․낙엽․숲․하늘․봄․뒷뫼․꽃․강남․강․바다․
    바람과 같은 原初的 自然으로서 事物化하고 이것을 다시 계절 감각으로 捕捉하
    는 二元的 表現 構造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自覺과 觀照의 인식이 발현되는 ꡔ草
    笛ꡕ 제3부 「노을빛 구름」에는 文化的 遺物 혹은 歷史的 遺跡을 소재로 한 시조
    가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靑磁賦>, <白磁賦>, <玉笛>, <十日面 觀音>,
    <多寶塔>, <矗石樓>, <武烈王陵>, <鮑石亭>, <財買>, <艅艎山城>등의 작
    품이 실려 있다. ꡔ草笛ꡕ에서 보여준 古典的 文化遺産에 대한 깊은 自覺과 觀照
    는 그 이후의 시조집인 ꡔ三行詩六十五篇ꡕ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항아
    리」, 「李朝의 흙」, 「내가 네 房에 있는가」, 「關係」, 「葡萄印影歌」, 「착한 魔法」,
    「金을 넝마로 하는 術士」 등의 작품이 陶磁를 詩的 대상으로 하고 있다. 艸丁 김
    상옥의 시조에서 나타나는 自然觀은 自然과 順應하는 古時調의 傳統을 繼承하
    고 나아가 觀念論的 自然 認識이 自然 相關物을 통하여 구체화된 事物化로 나
    타나 表現의 間接性을 드러낸다. 이러한 표현의 複合的 中層構造는 古時調에서
    는 찾아보기 힘든 實用論的 自然觀을 보인다.

    영어초록

    Adoration for nature constitutes one of the primary subjects that literature
    has tackled since the origin of human history. Nature expressed through a
    poet's subjective imagination is the internalized and reorganized n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view on nature enacted in Ch'o-Jung's three-verse
    poems(sijo) in light of the traditional views on nature implicated in the
    ancient three-verse poems(koshijo), which is in line with the long-established
    Oriental view on nature.
    To dignitaris(sadaebu) in the Chosun Dynasty, nature appeared as the
    idealistic subject for moral culture(shimsŏngsuyang), which also becomes the
    literary space where the purity and justice of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Sungrihak) is contained in the form of the three-verse
    poem, the lyrical poetic space where the "I" is united with nature by way of
    "enjoying of wind and moon"(umpungnongwŏi) and "living in quiet
    retirement"(yuyuchajŏk), and the object for the poetical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world. Ch'o-Jung's three-verse odes are found in Reed Pipe
    (Ch'ojŏk), Sixty Five Pieces of Three-Verse Odes (Samhaengshiyukshipopyŏn),
    Autumn Fragrance (Hyangginamǔn-gaǔl), and The Words of
    Zelkova Tree (Nǔtinamuǔi-mal). This study analyzes 212 pieces of
    Ch'o-Jung's three-verse poems chosen from theses books.
    In Ch'o-Jung's poems, the traditional view on nature expressed in the
    ancient three-verse poems is rendered in such a way that 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nature is in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objective
    correlatives found nature. Nature is no longer the object of straightforward
    utterance, but transformed, displaced, and removed: that way, nature gets
    objectified to form a complicated and multi-layered structure. In conclusion,
    the view on nature manifested in Ch'o-Jung's three-verse poems is based on traditional metaphysics. Second, nature is the object of lyrical nostalgia and
    adoration. Third, nature is imbued with the fundamental affection for
    parents. Fourth, nature is associated with organic life. Fifth, the nature in
    Ch'o-Jung's poems reveals the beauty of stillness endorsed in Lao-tse's and
    Chung-tze's philosophy. And last, nature is the agent for self-realization and
    medi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